[기고] 여름철 ‘다이어트’ 건강하게 천천히

입력 2025-06-15 0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과도한 식이 제한과 단기성 약물 복용 심혈관질환·탈모 등 발생할 수 있어

여름이 다가오면서 단기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2주 내 10㎏ 감량을 목표로 하루 열량을 1000칼로리 미만으로 제한하고 탄수화물을 완전히 배제하는 식단을 하거나 단기에 살을 빼는 펜터민 계열의 약물이나 검증되지 않은 비처방 다이어트제를 복용하기도 한다.

이런 단기 다이어트는 빠른 체중 감소가 장점이지만 실제로는 몸의 수분이나 근육이 손실되어 일시적으로 살이 빠졌다고 느끼는 ‘거짓 다이어트’가 대다수다.

줄어든 근육량은 기초대사량을 감소시켜 같은 양을 먹어도 몸에 쉽게 지방이 저장되어 살이 찌는 요요 현상이 발생한다. 또 잘못된 식이 제한으로 단백질이나 철분, 아연 등의 필수 영양소가 부족해지면 단백질 대사와 호르몬 균형이 무너져 탈모나 생리불순, 면역력 저하 등의 부작용도 발생한다.

단기 다이어트 약물 역시 주의를 요한다. 뇌의 식욕 중추에 작용하는 마약류 약물과 대사를 촉진하는 약물은 불면증과 두근거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 위험도도 높다.

단기 비만치료제는 부작용과 내성 문제로 보통 4~12주 이내의 단기 복용만 권장되며 장기 복용은 금하고 있다. 건강한 다이어트는 최소 1년을 계획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장기 비만치료제로 안정성이 입증된 약물이 많이 쓰인다. 위고비 같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유사체와 큐시미아, 콘트라브 등의 복합 경구약이 대표적이다.

GLP-1 유사체는 식욕을 억제하고 음식물의 위 배출 속도를 지연시켜 포만감을 오래 유지하게 한다.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식사량이 줄어 체중 감량이 가능하고 혈당 조절과 대사 건강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위고비를 68주 이상 복용한 환자들의 평균 체중 감량은 약 15%로 기존 비만치료제 중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위고비는 고도비만이나 고혈압, 당뇨병 같은 기저 질환이 있는 비만 환자가 장기 복용하면 효과가 크다. 체중감량과 함께 혈당과 혈압 등 심혈관 수치도 개선시키기 때문에 건강한 다이어트에 적합하다.

장기 비만 치료는 생활습관 개선도 중요하다. 약물 치료와 함께 영양가 있는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특히 위고비 처방 후에는 먹는 양이 줄기 때문에 전체적인 영양분 섭취가 부족할 수 있어 매 끼니마다 단백질과 비타민이 골고루 들어간 음식을 먹어야 한다. 또 기초대사량 감소를 위해 근력 운동을 주 2회 정도로 병행하는 것이 좋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310,000
    • +0.25%
    • 이더리움
    • 3,564,000
    • +2.38%
    • 비트코인 캐시
    • 690,000
    • +1.32%
    • 리플
    • 3,184
    • +2.22%
    • 솔라나
    • 208,000
    • +1.51%
    • 에이다
    • 813
    • +2.78%
    • 트론
    • 392
    • +0%
    • 스텔라루멘
    • 364
    • +6.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3,890
    • +0.68%
    • 체인링크
    • 19,250
    • +6.12%
    • 샌드박스
    • 351
    • +6.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