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속도조절', 8일 만에 하락 전환⋯ 2900선 아래로

입력 2025-06-13 09: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단기 과열 부담에 관세·중동 리스크 하방 압력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에 방산주 강세

코스피가 13일 최근의 상승세를 이어받아 2930선에서 상승 출발했으나 장 초반 내림세로 돌아섰다. 최근 계속된 랠리에 따른 부담으로 8거래일 만에 하락 전환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오전 9시 22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4.08포인트(0.82%) 내린 2895.95를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보다 10.54포인트(0.36%) 오른 2930.57로 출발했으나 이후 약세로 전환해 2900선 아래로 떨어졌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이 3064억 원, 외국인이 256억 원을 순매도 중이다. 개인은 3465억 원의 매수 우위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3.7원 내린 1355.0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간밤 뉴욕증시는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관세 이슈에 하락 출발했으나 물가 개선과 금리인하 기대로 3대 주요 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현재 25%인 자동차 관세를 추가 인상할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상승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관세 이슈가 최근의 급등으로 단기 부담이 있는 국내 증시의 상승 탄력 둔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이 결렬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전해진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소식도 증시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1.01%), LG에너지솔루션(-3.29%), 현대차(-1.24%), 두산에너빌리티(-0.73%) 등은 하락세다.

풍산(10.05%), HD한국조선해양(4.11%), 현대로템(2.34%), HD현대중공업(3.69%), HD한국조선해양(4.11%) 등 방산·조선 종목은 강세다.

업종별로는 건설(-1.31%), 섬유의복(-1.33%), 화학(-1.01%), 보험(-0.92%) 등이 내리고 증권(0.70%), 비금속(0.46%), IT서비스(0.44%), 통신(0.40%) 등은 오르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3.70포인트(1.74%) 내린 775.75이다.

지수는 3.23포인트(0.41%) 오른 792.68로 장을 시작했으나 이후 가파르게 하락 중이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435억 원, 기관이 195억 원을 순매도 중이고 개인은 1646억 원의 매수 우위를 나타냈다.

시총 상위 종목 중에는 알테오젠(-2.44%), 에코프로비엠(-3.18%), HLB(-2.06%), 에코프로(-2.79%), 레인보우로보틱스(-2.94%) 등 대부분이 약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7,914,000
    • +1.5%
    • 이더리움
    • 3,968,000
    • +0.76%
    • 비트코인 캐시
    • 712,000
    • +2.45%
    • 리플
    • 3,667
    • +8.04%
    • 솔라나
    • 218,900
    • +0%
    • 에이다
    • 951
    • +5.32%
    • 트론
    • 406
    • +2.53%
    • 스텔라루멘
    • 478
    • +1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070
    • -0.17%
    • 체인링크
    • 20,470
    • +0.84%
    • 샌드박스
    • 382
    • +0.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