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시진핑과 30분간 첫 통화 "11월 경주 APEC에 초청"[종합]

입력 2025-06-10 14: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2025.6.10      (사진제공=대통령실 )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2025.6.10 (사진제공=대통령실 )

이재명 대통령은 1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취임 후 첫 통화를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에 이은 세 번째 정상통화로, 약 30분간 대화가 이어졌다. 이 대통령은 양국 관계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며 11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을 초청했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대통령은 오늘 오전 11시 30분부터 약 30분간 시진핑 주석과 첫 정상통화를 가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강 대변인은 "시 주석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승리를 축하하며, 한국 정부와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발전을 위해 협력해 나가겠다고 했다"며 "이 대통령은 시 주석의 축하에 사의를 표하고 한중 양국의 호혜평등 정신하에 경제, 문화, 안보, 인적교류 등 다방면에서 활발한 교류와 협력을 추진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했다"고 전했다.

이어 "두 정상은 양국 국민 삶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한중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에 공감했다"며 "상호소통, 인적 문화 교류를 강화해 양국 국민 간 우호 감정을 제고하고, 경제협력 등 실질적인 협력 분야에서 양국 국민이 체감할 성과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시 주석에 한반도 비핵화 평화와 안정에 관한 중국의 건설적인 역할을 당부했다. 강 대변인은 "시 주석은 한반도 평화 안정은 한중 양국의 공동 이익인 만큼 중국 측은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안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올해 11월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을 초청했다. 강 대변인은 "두 정상은 성공적 개최를 위해 금년도 및 내년도 APEC 의장국인 한중 양국이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필요성도 공감했다"며 "이 대통령은 시 주석과 양국관계 발전을 위한 보다 긴밀한 의견 교환을 기대한다고 밝혔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양 정상이 APEC 정상회의든 어떤 식이든 계기가 된다면 만날 수 있다는 데에 교감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게 된다면 시 주석으로서는 11년 만의 한국 방문으로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강 대변인은 "두 정상은 지방에서부터 정치 경력을 쌓아온 공통점을 바탕으로 친근하고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통화가 진행됐다"고 첫 통화 분위기를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통화로 한반도 주변 4강(미국·중국·일본·러시아) 중 러시아를 제외한 3국 정상과의 통화를 마무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예스24, 전 회원에게 상품권 5000원ㆍ크레마클럽 무료 30일 제공
  • 트럼프 “G7 조기 귀국, 이란·이스라엘 휴전과 관련 없어…그보다 훨씬 큰 문제”
  • 글로벌 '원전 르네상스'…'K-원전' 위상도 쑥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⑦]
  • 인형 사려고 몸싸움까지…'라부부 재테크', 시작해도 될까요? [이슈크래커]
  • 단독 지난해 경력변호사→검사 임용 10배 늘었지만…‘경력직’도 퇴직 러시 [검찰, 어디로]
  • “북미 전력 공급량 급증”…전력 기기 시장도 활황 [AI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中]
  • 소비자 만족도 최고는 '새벽 배송'…'결혼서비스'가 최악인 이유는? [데이터클립]
  • 티빙+웨이브 통합 요금제 출시…진짜 ‘하나’가 된 걸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155,000
    • -1.84%
    • 이더리움
    • 3,527,000
    • -2.97%
    • 비트코인 캐시
    • 645,000
    • +0.62%
    • 리플
    • 3,048
    • -2.9%
    • 솔라나
    • 207,000
    • -3.86%
    • 에이다
    • 862
    • -3.79%
    • 트론
    • 381
    • -1.04%
    • 스텔라루멘
    • 356
    • -2.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260
    • +1.56%
    • 체인링크
    • 18,300
    • -3.68%
    • 샌드박스
    • 362
    • -3.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