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이 공동성명에서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비판은 제외됐다.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G7 재무장관은 20일부터 이날까지 캐나다 밴프에서 진행된 회의를 마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을 비난하고 휴전 협상을 환영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G7 재무장관들은 공동성명에서 “러시아의 계속되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잔인한 전쟁을 규탄하고 우크라이나 국민과 경제의 회복력을 지지한다”며 “우크라이나의 영토 보존, 생존권, 자유권, 주권, 정의롭고 계속된 평화를 위한 독립을 변함없이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휴전에 합의하지 않으면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확대하겠다는 의지도 담았다. 소식통에 따르면 러시아가 수출하는 원유의 상한 가격 인하 등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한다.
이날 회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세계 경제를 흔들고 있는 상황에서 열렸다. 프랑수아 필립 샹파뉴 캐나다 재무장관은 기자회견에서 “과연 공동성명을 낼 수 있겠느냐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단결의 증거로 성명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관련 뉴스
공동성명은 과도한 보조금 등 비시장적 정책 및 관행이 가져오는 악영향에 대한 공통된 이해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중국은 정부 보조금 등의 지원으로 전기차(EV)와 태양광 패널 등을 대량으로 생산해 저가에 수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량 수입화물에 대한 면세 조치의 문제점도 언급했다. 소비세와 관세를 내는 국내 사업자에게 불공평할 뿐 아니라 소량으로 운반하면서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불법 마약 거래나 위조품 수입의 통로가 될 수도 있다. 공동성명은 “위험에 대처할 방법을 모색한다“고 적었다.
전반적으로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대항 자세가 두드러졌지만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비판은 빠졌다. 샹파뉴 장관은 “관세 문제는 당연히 논의의 중심이었지만, 동시에 G7으로서 공통의 입장을 찾을 수 있는 많은 영역이 있다는 것도 드러났다”고 밝혔다.
G7은 내달 캐나다 서부 카나나스키스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성명서 내용에 대해 정상 차원에서 확인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