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신당, 문화체육관광부→문화부로 개편⋯뚜렷한 정책 無
"예술인 보호 필요"⋯문화정책 토론회에서 제안된 5대 과제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의 문화 관련 공약을 살펴본 결과, 더불어민주당 정당정책에서 문화 키워드는 총 9회 언급됐다. 국민의힘은 단 1회로 주요 정당 가운데 가장 낮았다.
23일 본지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올라온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개혁신당, 민주노동당 등 주요 4개 정당의 문화 관련 대선 공약을 살펴본 결과, 더불어민주당 대선 공약집에서는 문화 키워드가 총 9회 등장했다. 이어 민주노동당 4회, 개혁신당 3회, 국민의힘 1회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은 경제ㆍ산업 분야에서도 'K콘텐츠 지원 강화로 글로벌 빅5 문화강국 실현'을 앞세웠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K컬처 글로벌 브랜드화를 통한 K이니셔티브 실현 및 문화 수출 50조 원 달성 △K콘텐츠 창작 전 과정에 대한 국가 지원 강화 및 OTT 등 플랫폼 육성 △문화예술인의 촘촘한 복지 환경 구축 및 창작권 보장 등을 공약으로 발표했다.
관련 뉴스
이 밖에도 생애주기 문화패스 신설 및 확대를 통해 국민 문화향유권을 확대한다는 범국민적 문화 정책도 내놨다.
민주노동당은 도서관-체육-문화시설 지원을 통한 예체능 교육 강화로 생활체육, 생활문화 강국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개혁신당은 문화체육관광부를 '문화부'로 명칭을 변경하겠다는 것 외에 뚜렷한 문화 정책은 없었다. 국민의힘 역시 '문화ㆍ체육시설 확충을 통해 젊은 세대들의 유입확대'라는 문구 외에는 별다른 정책을 찾아볼 수 없었다.
한편 이날 서울 마포구에 있는 청년문화공간 JU에서 열린 '21대 대통령선거 문화정책 대전환을 위한 토론회'에서는 새 정부 문화정책 제안 취지와 경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에서 하장호 문화연대 문화정책위원장은 △블랙리스트 특별법 제정을 통한 표현의 자유 확대 △예술인 노동 권리보장 및 사회안전망 확대 적용 △지속 가능한 지역문화 정책을 통한 시민 문화권 확대 △지속 가능하고 안전한 창작 환경 조성 및 지원 시스템 구축 △문화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문화 행정 혁신 등 총 5대 정책 과제를 제안했다.
하 위원장은 "여전히 직업으로 예술 활동이라는 게 사회적으로 노동으로서 권리적 보장을 갖는 체계가 여전히 미흡하다"라며 "사회안전망 속에 예술인들이 사회적 노동을 실행하는 주체로서 보호받을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문화체육관광부 행정 체계 자체에 대한 조직적 변화를 비롯해 지원 사업 제도를 조금 더 현장 예술인들 중심으로 재편되는 게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라며 "문화정책 영역이 이제는 시민들의 일상과 삶을 바꾸는 새로운 삶의 가치와 양식을 만들어내는 정책으로 변환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