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9조 부실 PF, 상반기 절반 이상 정리”…질서 있는 연착륙 신호탄

입력 2025-05-22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6월까지 부동산 PF 부실 12.6조 정리
하반기 전 업권 부실 규모 1조원 내로
전체 PF 익스포져 202조 3000억 원
1년 새 12.5%↓
"PF 부실 구조조적 위험 제거"

금융당국이 추진해온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의 ‘질서 있는 연착륙’이 가시화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23조9000억 원에 달했던 전 금융권의 부실 PF 가운데 절반 이상이 올해 상반기 내 정리될 전망이다. 급등한 연체율과 태영건설발 유동성 위기로 위기감이 고조됐던 PF 시장은, 평가 기준 개편과 구조조정 유도로 급한 불을 대부분 진화했다는 평가다.

한구 금융감독원 중소금융 부원장보는 22일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전 금융권 부동산PF 정상화 추진경과 및 그간의 실적' 브리핑을 열고 “올해 6월까지 전체 부실 PF 23조9000억 원 중 12조6000억 원(52.7%)을 정리 또는 재구조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하반기부터는 대부분 업권에서 부실 규모가 1조 원 안팎으로 낮아져 안정적인 관리 수준에 진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동산 PF 부실이 본격화된 시점은 2022년 하반기부터다. 2020년부터 이어진 저금리 기조와 시중 유동성 확대에 힘입어 PF 대출은 2020년 92조5000억 원에서 2022년 130조3000억 원으로 2년 새 40% 넘게 급증했다. 외형은 빠르게 불어났지만, 이후 금리 인상과 원가 상승, 분양률 하락 등 '삼중고'가 겹치면서 사업성은 급속히 악화했다. 2021년 0.37%였던 연체율은 지난해 상반기 3.56%까지 치솟았고, 레고랜드 사태와 태영건설 유동성 위기를 거치며 PF 부실은 전 금융권으로 확산했다.

당국은 2023년부터 전 금융권 사업장 전수조사에 착수해 지난해 상반기 두 차례에 걸쳐 사업성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기준도 기존 3단계(양호·보통·악화우려)에서 4단계(양호·보통·유의·부실우려)로 세분화하고, 토지담보대출과 채무보증, 새마을금고 보유 PF까지 범위를 확대했다. 그 결과 기존에 노출되지 않았던 잠재부실 11조7000억 원이 추가로 식별됐다.

새 기준 도입에 따라 지난해 말 기준 PF 부실여신은 23조9000억 원으로 확정됐고, 3월까지 9조1000억 원(정리 6조5000억 원, 재구조화 2조6000억 원)이 정리됐다. 올해 2분기에는 추가로 3조5000억 원(정리 2조7000억 원, 재구조화 8000억 원)을 처리할 예정이다. 상반기 내 절반 이상을 정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과정에서 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5.5%포인트, 연체율은 4.1%포인트 개선될 전망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PF 익스포져는 202조3000억 원으로 1년 새 12.5%(28조8000억 원) 감소했다. PF 익스포져는 PF성 대출(토지담보 포함)과 채무보증을 합산한 개념이다. 상호금융(-12조6000억 원), 저축은행(-8조2000억 원), 여전사(-6조8000억 원), 보험(-3조8000억 원), 은행(-7000억 원) 등 대부분 업권에서 축소됐고, 증권사만 3조2000억 원 증가했다.

부실여신만 따져도 상호금융이 9조2000억 원으로 가장 컸고, 저축은행(3조6000억 원), 증권사(3조4000억 원), 여전사(2조1000억 원), 보험(6000억 원), 은행(4000억 조) 순이었다. 저축은행은 전체 PF 중 부실우려 사업장 비중이 26%로 평균(9.5%)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에 따라 당국은 정상화 펀드 조성과 경공매 활성화, 정보공개 플랫폼 운영 등 다각도의 자율정리 유도책을 병행했다. PF정상화펀드는 현재 4차 조성 중으로 1조5000억 원 규모의 여신 매각이 진행 중이며, 일부 은행과 보험사가 선순위 투자자로 참여하고 있다. 경공매 기준은 지난해 8월 마련됐고, 정보공개 플랫폼에는 현재까지 395개 사업장(6조5000억 원 규모)이 등록됐다.

PF대출 과정에서 드러난 위법·부당행위에 대한 조사도 병행된다. 당국은 일부 금융회사 임직원이 사익을 추구하거나, 시행사가 용역비를 과다 계상해 대출금을 유용한 사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현장점검과 충당금 적립 확대 등 건전성 감독도 강화된다.

한 부원장보는 “PF 부실의 구조적 위험을 제거하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며 “시장 충격 없이 부실을 단계적으로 해소하는 ‘질서 있는 연착륙’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반기 이후에도 정리 실적이 저조한 금융사에 대해서는 별도 현장검사와 충당금 적립을 유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이란 직접 때렸다…트럼프 “핵시설 3곳 성공적 공격”
  • '서울가요대상' 아이들 대상⋯투바투ㆍ영탁 3관왕
  • 2만여명 홀린 韓 기업들…'바이오 심장' 뒤흔들었다
  • '미사일 보복' 나선 이란… "이스라엘 상공에 폭발음"
  • 범접 메가크루 반응 터졌는데…허니제이ㆍ아이키, 언행 논란으로 '찬물'
  • [가보니] “통신사 바꾸길 잘했어요”…KT ‘전시 혜택’에 고객 몰렸다
  • 미국이 띄운 'B-2 폭격기' 뭐길래?…"벙커버스터 탑재 가능"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284,000
    • -0.45%
    • 이더리움
    • 3,196,000
    • -5.19%
    • 비트코인 캐시
    • 644,500
    • -1.98%
    • 리플
    • 2,905
    • -1.86%
    • 솔라나
    • 189,800
    • -2.77%
    • 에이다
    • 776
    • -4.9%
    • 트론
    • 381
    • +0%
    • 스텔라루멘
    • 332
    • -2.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600
    • -2.87%
    • 체인링크
    • 16,790
    • -4.82%
    • 샌드박스
    • 331
    • -5.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