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美 신용등급 강등⋯외화유동성ㆍ환리스크 면밀히 점검”

입력 2025-05-20 13: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일 임원회의
외화유동성 환리스크 점검
금융안정과 경쟁촉진 균형
시장질서 훼손 우려 차단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0일 임원회의에서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 강등 이후 글로벌 자금 흐름 변화와 환율 불안 가능성에 대비해 금융권의 외화유동성과 환리스크를 면밀히 점검하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금융산업 내 유효경쟁을 저해할 수 있는 과점 구조나 정보공유 관행에 대해서도 경각심을 갖고 공정금융 질서를 확립하라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회의에서 “지난주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하향 조치로 재정건전성과 정책신뢰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외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금융상황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무디스의 등급 강등은 과거 S&P(2011년 8월), 피치(2023년 8월) 때와는 다소 다른 양상이라는 점도 지적됐다. 당시엔 인플레이션이나 유럽발 위기가 원인이었으나, 이번에는 미국 내 관세정책의 불확실성과 정책신인도 저하 속에서 발생했다. 장기적으로 달러화와 미국 국채의 안전자산 지위에 균열을 줄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금감원은 이를 감안해 글로벌 투자자 자금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금융권의 외화유동성과 환위험 노출을 점검할 계획이다. 기획재정부·한국은행·예금보험공사 등 F4 협의체와 긴밀히 공조해 금융안정을 도모할 방침이다.

이 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금융산업 내 건전한 경쟁질서 확립 문제도 함께 언급했다. 최근 일부 금융 인프라 기업 간 과점 구조나 정보교환 행위가 경쟁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금융안정을 위한 일부 조치가 경쟁을 제한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고, 반대로 경쟁촉진이 소비자권익을 해칠 가능성도 있다”며, 금융안정과 경쟁촉진 사이의 균형을 강조했다. 이어 “취약한 금융회사가 무리한 가격경쟁을 통해 소비자를 현혹하는 일이 없도록, 건전성을 담보한 경쟁환경 조성도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향후 소비자와 금융회사 간 정보 비대칭 해소, 금융당국과 공정거래위원회 간 협력체계 강화 등을 통해 공정금융 체계 전반을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이란과 전쟁 돌입…핵시설 3곳 폭격
  • '서울가요대상' 아이들 대상⋯투바투ㆍ영탁 3관왕
  • 2만여명 홀린 韓 기업들…'바이오 심장' 뒤흔들었다
  • '미사일 보복' 나선 이란… "이스라엘 상공에 폭발음"
  • 범접 메가크루 반응 터졌는데…허니제이ㆍ아이키, 언행 논란으로 '찬물'
  • 'K-AI' 기대감에 '국민주' 네카오 불기둥 행렬
  • 미국이 띄운 'B-2 폭격기' 뭐길래?…"벙커버스터 탑재 가능"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748,000
    • -3.73%
    • 이더리움
    • 3,065,000
    • -9.02%
    • 비트코인 캐시
    • 628,500
    • -4.41%
    • 리플
    • 2,717
    • -7.84%
    • 솔라나
    • 180,400
    • -7.72%
    • 에이다
    • 736
    • -8.34%
    • 트론
    • 372
    • -2.11%
    • 스텔라루멘
    • 314
    • -6.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310
    • -5.06%
    • 체인링크
    • 16,040
    • -7.66%
    • 샌드박스
    • 317
    • -7.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