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기대와 달리 ‘즉각 휴전 합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정상회담 개최’ 등 평화를 위한 큰 진전은 이뤄내지 못했다는 평가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세운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푸틴과의 2시간가량 이어진 통화에 대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전쟁 종식을 위한 휴전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이라며 “어느 정도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룹 통화를 통해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유럽연합,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핀란드의 지도자들에게 이 회담 계획을 전달했다고 알렸다.
푸틴 대통령도 트럼프와의 통화 후 “전쟁을 종식하려는 노력이 전반적으로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면서 “러시아는 잠재적인 평화 협정을 위해 우크라이나와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했다.
관련 뉴스
푸틴은 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측에 향후 가능한 평화 협정에 대한 각서를 제안하고 협력할 준비가 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푸틴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로이터는 트럼프의 대통령이 2시간에 걸쳐 통화를 했지만 푸틴 대통령으로부터 큰 양보를 얻어내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또 우크라이나 영토의 5분의 1을 장악하고 진격 중인 푸틴은 트럼프의 공개적ㆍ비공개적 압력과 유럽 열강의 거듭된 경고에도 전쟁 종식을 위한 조건을 확고히 고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과도 통화했다. 젤렌스키는 트럼프와 통화 후 “전쟁을 종식하기 위해 우크라이나ㆍ러시아ㆍ미국ㆍ유럽연합(EU)ㆍ영국과의 고위급 회담을 추진할 수도 있다”면서 “튀르키예ㆍ바티칸ㆍ스위스 등이 회담을 주재해 이른 시일 내 개최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트럼프도 “교황이 발표한 바티칸 주재 협상 개최에 큰 관심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