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찰음식'이 국가무형유산 신규 종목으로 지정됐다. 사찰 공동체를 중심으로 지역별 고유 특징이 담긴 점이 인정받았다.
19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이번에 지정되는 사찰음식은 '불교 정신을 담아 사찰에서 전승해 온 음식'으로 정의된다. 승려들의 일상적인 수행식과 발우공양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식사법을 포괄한다.
사찰마다 다양한 음식이 전승되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불교 사상에 기초하여 육류와 생선, 오신채(마늘, 파, 부추, 달래, 흥거) 없이 조리하는 채식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이처럼 사찰음식은 불교 전래 이후 발전해온 전통을 바탕에 둔다. 불살생과 생명 존중, 절제의 철학을 음식으로 구현한 고유한 문화인 것이다. 또 발효 중심의 조리법과 지역 식재료를 활용해 향토성을 반영하는 등 다른 국가의 사찰음식과도 차별화된다. 현재에도 전통을 유지하면서 창의적으로 재해석돼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에 기여하고 있어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됐다.
관련 뉴스
다만 사찰마다 다양한 조리법이 이어져 오고 있으며 승려를 중심으로 사찰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집단 전승체계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고려,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 종목으로 지정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