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 톡!] 과도한 경업금지약정은 무효

입력 2025-05-18 18: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소라 노무법인 정상 공인노무사

단골이 있다는 건 좋은 일이다. 정보탐색의 수고를 아낄 수 있고 가격과 서비스 품질에 대해 안심할 수 있으며 심지어 ‘우리 동네’라는 따스한 감정까지 느낄 수 있으니 말이다. 몇 달 전 마음에 쏙 들었던 미용사가 독립해 먼 곳에 개업을 했다. 차로 40분이나 달려 찾아가 이야기를 들어보니 이전 미용실과 경업금지약정을 체결했는데 ‘퇴직 후 2년 동안 OO시 내에서 다른 미용실에 취업하거나 개업을 할 경우 1000만 원의 손해배상을 한다’는 내용이란다.

‘경업금지약정’은 퇴직 후 일정 기간 경쟁업체에 취업하거나 동종 사업을 운영하지 않기로 정하는 계약으로 당사자 간에 자유롭게 체결할 수 있고 법적 효력이 있다. 다만 양 당사자 간에 ‘정당한 영업의 자유와 재산권 방어’와 ‘직업 선택의 자유 침해’라는 대립이 존재하므로 균형 있는 보호가 필요하다.

법원의 태도를 단순하게 요약하자면 “원칙적으로 유효, 합리적인 범위를 초과하면 무효”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사의 영업비밀이나 노하우, 고객관계 등 보호할 가치 있는 이익이 존재하는지, 경업을 제한하는 기간과 지역, 직종 범위가 과도하지 않은지, 퇴사자에게 그에 상응하는 대가가 지급되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유효성을 인정할 수 있는 이런 사정에 대한 입증 책임은 회사에 있다.

미용사, 학원 강사 등 고객 네트워크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직종에서 근로자가 퇴직 후 인근의 경쟁업체로 이직하거나 창업을 하는 경우 고객들이 그를 따라 이동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회사로서는 경업금지약정을 통해 고객 관계를 유지할 필요성이 있고, 영업망의 확보나 고객관리에 투자된 유무형의 자산 역시 법적으로 보호할 가치가 있다.

그럼에도 당사자 사이의 균형과 유효성에 대한 고려 없이 제한의 범위를 과도하게 설정한 약정은 오히려 법정 분쟁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정작 무효로 판단되어, 하지 않으니만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약정서의 서명만으로 권리가 보호되거나 박탈되는 것이 아니므로 실제로 필요한 범위와 수준을 고려하여 신중하고 정교하게 설계해야 한다. 인구 100만의 OO시 전체를 경업금지 지역으로 약정할 필요가 있었을까?

이소라 노무법인 정상 공인노무사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李대통령, G7 순방 첫 일정 돌입...호주·남아공 연쇄 정상회담
  • 글로벌 '원전 르네상스'…'K-원전' 위상도 쑥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⑦]
  • 포항공장 전면휴업에 잡음 계속…현대제철에 전운
  • 단독 지난해 경력변호사→검사 임용 10배 늘었지만…‘경력직’도 퇴직 러시 [검찰, 어디로]
  • “북미 전력 공급량 급증”…전력 기기 시장도 활황 [AI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中]
  • 펨트론, 미국 반도체 M사에 장비 공급…HBM 검사장비도 기대감
  • 367조 원 STO 시장 열린다…제도화 원년 맞은 조각투자
  • ‘檢 해체’ 가시화하자 분위기 술렁…“젊은 검사부터 이탈 가능성” [검찰, 어디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11: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035,000
    • +0.7%
    • 이더리움
    • 3,534,000
    • -0.34%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1.81%
    • 리플
    • 3,074
    • +2.26%
    • 솔라나
    • 208,400
    • -3.02%
    • 에이다
    • 870
    • -1.25%
    • 트론
    • 378
    • +0.53%
    • 스텔라루멘
    • 360
    • +0.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580
    • +2.91%
    • 체인링크
    • 18,570
    • +0.16%
    • 샌드박스
    • 369
    • +0.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