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조선업 재건, 한국에 기회…사업성 높은 분야 참여 방안 모색해야”

입력 2025-05-19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트럼프 행정부의 조선업 재건 정책에 따라
2037년까지 최대 448척 선박 발주 전망
LNG선·군함 MRO 등 한국 참여 방안 협상해야

▲한국경제인협회 표지석. 신태현 기자 holjjak@
▲한국경제인협회 표지석. 신태현 기자 holjjak@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조선업 재건 정책이 본격화하면서 한국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및 상선 신조, 미 해군 군함 유지·보수·정비(MRO), 차세대 선박 협력 등 사업성이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참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9일 한국경제인협회가 류민철 한국해양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해 발간한 '미국 조선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에서의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2037년까지 상선, LNG 운반선, 해군 군함 등을 포함해 403~448척의 선박을 발주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조선업 재건 정책을 한국 조선산업의 발전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LNG 운반선의 경우 미국의 LNG 수출 확대에 따른 신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국내 기업들의 현지화가 필요하다고 봤다. 미국 전략상선단은 중형급 선박이 대부분인 만큼 국내 중형 조선업계의 수주 및 사업 확대를 위한 민관 협력방안 마련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미 해군 함정 사업에선 선체 보수 작업 위주로 신뢰를 쌓아 장기적으로는 무기체계를 포함한 유지보수까지 영역을 확장하는 한편, 함정 신조는 수송 및 지원함, 상륙함 등 진입장벽이 낮은 함정부터 수주 기회를 확보하면서 무기 및 전투체계 고도화를 통해 수출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차세대 선박과 관련해선 중대형 이산화탄소(CO₂) 운반선, 액체수소 운반선, 무인 자율 운항선박 등의 첨단 기술 연구와 사업화를 위한 한미 공동 기금 마련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미국 조선업 재건을 위해선 장기간에 걸친 인프라 개선, 생산성 향상, 인력 충원 등의 투자가 병행돼야 한다고 보고 지속적인 지원 정책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내 조선소 인수 및 관련 기자재 사업 투자에 대한 보조금 내역을 구체화하고, 미국 조선소 생산성 개선 방안과 국내 기업이 인수한 미국 조선소 부지 및 주변 인프라 정비 방안 등에 대한 양국의 사전 협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특히 미국 조선소 인수에 따른 인력 이동으로 국내 조선업계의 인력 공백을 방지하기 위한 장기적 관점의 인력 양성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건조 경험이 없는 LNG 운반선, 쇄빙선 등의 일정 물량을 국내에서 먼저 건조하고, 건조 과정에 미국 현지법인 직원들을 참여시켜 교육하는 방안이 나왔다. 아울러 전문역량을 보유한 국내 조선업계 은퇴자들을 미국 조선소에 고용하는 방안, 핵심 기술을 제외한 조선 기술의 해외 수출에 대한 규제 완화 검토 등을 제언했다.

류 교수는 “국내 조선업계가 미국 현지 사업을 추진할 때 인력과 공급망 저변을 확보하는 전략을 미국과 함께 마련하고, 미국의 지원 정책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국의 지속적인 협의가 필요하다”면서 “미국 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 가능성에 따른 사업 리스크도 면밀하게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미국과 인도를 비롯한 해외 국가들로부터의 조선산업 협력 요청이 늘어나는 가운데 외교, 통상, 산업, 에너지, 물류, 금융 등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시각에서 조선산업 육성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별도의 조선산업 연구소 설립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 사업으로 한국 조선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한층 중요해졌다”며 “국회와 정부는 자율 운항 선박, 수소선박 등 미래형 선박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스마트 조선소 구축 등으로 생산성 제고를 유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장중 3000선 돌파…3년 6개월만
  • '아이돌의 아이돌' 빅뱅, 어떤 차 몰까…개성 넘치는 이들의 콜렉션 [셀럽의카]
  • 제2차 세계대전에 등장했던 ‘강철비’…이란이 쏜 집속탄이란?
  • ‘내란 특검보’ 김형수·박억수·박지영·박태호·이윤제·장우성
  • "농어를 고아 먹으면 굽은 등도 펴진다?" [레저로그인]
  • [날씨] 전국 장마 시작…강풍 동반해 시간당 최대 50㎜ 쏟아져
  • 티몬, 오늘 운명의 날…오아시스 품에 안기나
  • ‘서울대 10개 만들기’ 입시 병목 해법 되나…“재정마련 시급”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⑩·끝]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10,000
    • -0.34%
    • 이더리움
    • 3,373,000
    • -2.8%
    • 비트코인 캐시
    • 653,000
    • -4.25%
    • 리플
    • 2,956
    • -0.54%
    • 솔라나
    • 195,500
    • -2.45%
    • 에이다
    • 813
    • -0.97%
    • 트론
    • 380
    • +0.26%
    • 스텔라루멘
    • 338
    • -1.4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800
    • -2.51%
    • 체인링크
    • 17,640
    • -1.4%
    • 샌드박스
    • 348
    • -0.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