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물가 하락 전환·수입물가 석달째 하락…“환율·국제유가 영향”

입력 2025-05-16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은, 16일 ‘2025년 4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 발표

(한국은행)
(한국은행)
수출물가지수가 한 달만에 하락 전환했다. 수입물가지수는 석 달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4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물가지수는 133.43으로 전월대비 1.2% 하락했다. 전월에 0.4% 올랐지만 한 달 만에 다시 하락 전환했다. 수입물가지수는 140.32로 전월대비 1.9% 떨어졌다. 2월(-1.0)부터 3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수출물가지수는 원·달러 환율이 하락한 가운데 화학제품, 석탄및석유제품 등이 내린 영향을 받았다. 지난달 원·달러 환율 평균 환율은 1444.31원으로 전월(1456.95원)보다 0.9% 하락했다.

항목별로 농림수산품은 전월대비 1.1% 하락했다. 공산품은 화학제품, 석탄및석유제품, 운송장비 등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1.2% 떨어졌다.

수입물가지수는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내렸다. 지난달 두바이유가의 월평균 가격은 배럴당 67.74달러로 전월(72.49달러)보다 6.6% 하락했다. 항목별로 원재료는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4.3% 하락했다. 중간재는 석탄및석유제품, 1차금속제품 등이 내리며 전월대비 1.3% 내렸다. 자본재는 0.3% 상승한 반면 소비재는 0.4% 하락했다.

지난달 수출물량지수는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1차금속제품 등이 증가해 전년동월대비 7.7% 상승했고, 수출금액지수는 전년동월대비 3.1% 올랐다.

이문희 경제통계1국 물가통계팀장은 “수출가격이 하락한 배경은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떨어진 상황에서 석탄석유제품이나 화학제품의 가격이 전년동월대비 하락했고, 반도체 같은 경우도 전년동월대비로는 하락한 상황”이라며 설명했다. 수입물량지수는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기계및장비 등이 증가해 2.2% 상승한 반면, 수입금액지수는 3.2% 하락했다.

한편,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93.78로 전년동월대비 1.2% 올랐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같은 기간 9.0% 상승했다. 이 팀장은 “수입가격이 수출가격에 비해서 큰 폭으로 떨어졌기 때문에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720,000
    • +1.8%
    • 이더리움
    • 3,729,000
    • +5.19%
    • 비트코인 캐시
    • 690,000
    • +1.69%
    • 리플
    • 3,260
    • +4.05%
    • 솔라나
    • 213,500
    • +4.4%
    • 에이다
    • 844
    • +5.76%
    • 트론
    • 393
    • +0.26%
    • 스텔라루멘
    • 388
    • +11.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510
    • +2.04%
    • 체인링크
    • 19,400
    • +3.19%
    • 샌드박스
    • 366
    • +7.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