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미세먼지ㆍ황사 줄어들까⋯한중 국제공동연구 MOU

입력 2025-05-12 10: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림사업지 조림 활착률 80~90% 이상 성과

▲중국 내몽골 통료시 조림사업지 변화 모습.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중국 내몽골 통료시 조림사업지 변화 모습.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한국과 중국이 동북아시아 사막화를 공동연구로 막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2일 동북아시아의 사막화 방지와 모래·먼지 폭풍 저감을 위해 중국임업과학연구원과 국제공동연구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두 기관은 중국과 몽골 지역의 조림사업지를 공동으로 조사해 효과성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과 동북아시아 사막화 방지 네트워크(DLDD-NEAN) 등의 국제회의에도 함께 대응하기로 했다. 이번 한-중 국제공동연구는 몽골까지 협력 범위를 넓히며, 사막화 방지 공동연구와 산림 협력을 한국·중국·몽골 간의 다자 체계로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과학원은 중국임업과학연구원과 2017년부터 2024년까지 한-중 사막화 방지 조림사업지 10여 곳을 대상으로 식생조사 및 위성영상 분석 등의 공동연구를 진행해왔다. 두 기관은 현지 조사를 통해 조림사업지별 장단점과 관리 방안을 제시했으며 이 성과는 유엔사막화방지협약 세계토지전망 보고서에 우수 파트너십 사례로 소개됐다.

현재까지의 조사 결과, 대부분 지역에서 조림한 나무의 80% 이상이 건강한 산림으로 자라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지역 주민의 생활 환경이 개선되고 지역 경제가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조림사업을 한 감숙성 백은시와 귀주성 수문현의 조림 활착률은 90% 이상이었으며, 내몽골 통료와 신강자치구 투루판의 조림 활착률도 80% 이상이었다.

최형태 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장은 “사막화 대응에는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인문·사회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조림 기술과 장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사막화와 가뭄 등의 환경문제에 과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현지 연구진과의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AI의 거짓말, 기후정책 흔들어…언론이 제자리 찾아야” [미리보는 CESS2025]
  • 광주 신현동 상수관 파손…단수 이어 ‘흙탕물’ 조심
  • 코요태 신지의 7살 연하 예비신랑, 문원은 누구?
  • 이란, 카타르 미군기지 공격…트럼프·하메네이, 휴전 입장 차
  • 뉴욕증시, 이란 제한적 보복에 안도…다우 0.89%↑
  • [날씨] 전국 곳곳 20~60㎜ 비…오후부터 수도권·서울로 확산
  • 유튜브뮤직 나홀로 선언에 지각변동⋯토종 음원 업계 활로 모색
  • 동일본 이어 난카이 대지진도?…예언서 된 '내가 본 미래', 선배도 있다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4 09:3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74,000
    • +3.29%
    • 이더리움
    • 3,326,000
    • +6.33%
    • 비트코인 캐시
    • 637,500
    • +0.79%
    • 리플
    • 2,964
    • +4.99%
    • 솔라나
    • 198,600
    • +7.29%
    • 에이다
    • 802
    • +5.67%
    • 트론
    • 378
    • +2.44%
    • 스텔라루멘
    • 338
    • +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010
    • +4.49%
    • 체인링크
    • 17,750
    • +8.7%
    • 샌드박스
    • 354
    • +8.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