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글로벌 교육개혁 학술대회’ 개최...“AI시대 교육혁신”

입력 2025-05-12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3일 제주서 APEC교육장관회의 부대행사로 열려

▲오석환 교육부 차관이 지난 6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0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미래 교육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석환 교육부 차관이 지난 6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0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미래 교육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원국 교육 전문가들이 모여 인공지능(AI) 시대의 교육혁신과 글로벌 교육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교육부는 13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AI 및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교육혁신과 글로벌 협력’을 주제로 ‘글로벌 교육개혁 학술대회(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APEC 회원국 교육부 관계자와 국내외 교육 분야 전문가 등 300여 명이 참석한다.

이번 행사는 APEC 2025 교육장관회의 주제와 연계해 ‘혁신·연결·번영’의 3개 분과(세션)로 진행된다. 대한민국의 교육개혁 성과를 알리는 동시에 지속가능한 미래 교육을 위한 글로벌 교육협력 방안 등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김진표 글로벌혁신연구원 이사장(전 국회의장)은 ‘교육혁신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통해 저출산·사교육 경쟁 등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AI를 활용한 공교육의 혁신 및 고등교육과 지역 상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초·중등 교육 분야를 다루는 혁신 분과에서는 ‘교사가 이끄는 교실 혁명’을 주제로 AI 디지털 기술 활용 수업의 안정적인 정착 방안을 논의한다. 진행은 정제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이 맡는다. 현직 초등교사를 토론자로 초청해 생생한 인공지능 활용 수업 경험을 듣고 호주 교육부 차관보, 싱가포르 국립교육원 교수, 싱가포르 교육부 수석 부국장과 강은희 대구교육감 겸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의 토론도 예정됐다.

고등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연결 분과에서는 ‘AI 시대 미래 인재 양성의 핵심으로서 고등교육의 역할과 혁신 방안’을 논의, 고등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을 모색한다. 진행을 맡은 최도성 한동대 총장의 질문에 혁신적인 교육 모델을 전파하는 ‘미네르바 프로젝트’의 설립자 벤 넬슨이 답변하며 미래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알아본다. 김헌영 라이즈(RISE) 위원장은 대학과 지역이 협력해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정책인 ‘라이즈(RISE,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를 도쿄대 수석부총장, 필리핀 대학교 총장 등 해외 고등교육 관계자들에게 소개한다.

마지막 번영 분과 토론은 최창용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가 이끈다. 해당 분과에서는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글로벌 교육 협력’을 주제로 디지털 전환과 포용성의 균형을 위한 핵심 원칙과 전략에 대해 토의한다. 임태희 경기교육감, 임종식 경북교육감 및 미국 워싱턴주 벨뷰시 교육감 등 국내외 교육감들이 토론에 참여한다. 이 밖에도 아시아개발은행(ADB) 관계자,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등 국내외 교육 분야 전문가들이 구체적인 국제 협력 경험과 성공 사례를 공유한다.

한편, 학술대회(콘퍼런스) 참석자들은 교육혁신 전시관을 참관하고 스템(STEM) 교육 등 혁신 사업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9대 교육개혁 과제에 기반한 성과를 직접 보고 들으며 AI 시대 변화한 교실의 모습을 경험할 수 있다.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대한민국은 이제 지난 30년간 쌓아온 교육개혁의 성과를 돌아보고 미래를 향한 새로운 30년의 여정을 시작해야 할 전환점에 서 있다”며 “이번 학술대회는 우리가 축적해 온 교육혁신의 경험과 성과를 APEC 회원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과 공유하는 자리이자 디지털 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새로운 글로벌 교육혁신 방향을 함께 모색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인터뷰] 박영선 전 장관 “새 정부, 기업 조력자로 AI 혁신 판 깔아줘야”
  • 신용점수 930점도 안되네…'고신용자들'도 넘기 힘든 은행 대출 문턱
  • 한국 증시, MSCI 선진국지수 편입 불발
  • "써클은 광풍 예감, 국내는 출발선"…디지털 자산 좇는 기민한 투자자들
  • 6·25전쟁 75주년, 잊지 말아야 할 참전국
  • 백악관 ‘금리인하 압박’에 맞서는 파월⋯청문회 나서 "서두를 이유 없다"
  • 약물 운전 혐의 이경규 입건…“공황장애 약 복용, 부주의했다”
  • [날씨] "출근길 우산 챙기세요"…전국 20~60㎜ 비 예보
  • 오늘의 상승종목

  • 06.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358,000
    • -0.48%
    • 이더리움
    • 3,343,000
    • -0.24%
    • 비트코인 캐시
    • 622,500
    • -3.19%
    • 리플
    • 2,998
    • +0.2%
    • 솔라나
    • 198,900
    • -0.85%
    • 에이다
    • 804
    • -0.5%
    • 트론
    • 376
    • -0.79%
    • 스텔라루멘
    • 340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930
    • -2.28%
    • 체인링크
    • 18,310
    • +2.46%
    • 샌드박스
    • 350
    • -0.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