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간 대학의 수도권 쏠림은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수도권 반도체·첨단분야 학과 대입 경쟁률도 지방보다 세 배 이상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7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분석한 '2014~2024년 지역별 대학생 비중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해 수도권 대학 학생수 비중은 43.37%였다. 조사는 교육통계의 학생수를 지역별 비중으로 산정했다.
4년제 일반대학은 2014년 37.27%에서 지난해 42.52%로 5.25% 포인트(p) 증가했고, 전문대는 42.56%에서 46.54%로 10년 3.98%p 증가했다.
지난 10년 사이에 전문대학 학생 수는 서울이 2.36%p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대학 학생 수는 경기 지역이 3.65%p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추천 뉴스
반면 비수도권 전문대학과 대학의 학생 수는 급감하는 추세다. 전문대학은 2014년 42만5502명(57.44%)에서 2024년 26만3032명(53.46%)으로 감소했다. 대학은 2014년 133만6234명(62.73%)에서 2024년 105만5664명(57.48%)으로 줄었다.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를 핵심 국정과제로 내걸었던 것과는 반대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윤석열 정부가 2022년부터 시행해온 첨단 분야 인재양성 정책에 따라 반도체·첨단분야 학과 입학 정원을 대폭 늘려준 결과도 수험생의 수도권 쏠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본지가 종로학원에 의뢰해 받은 ‘반도체 관련 학과 권역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최근 3년간 대입 수시모집에서 서울의 입시경쟁률이 지방에 비해 세 배 이상 꾸준히 높게 나타났다.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권역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서울권 18.1 대 1·지방권 4.9대 1(2023학년도) △서울권 17.0대 1·지방권 4.7대 1(2024학년도) △서울권 18.8대 1·지방권 5.0대1(2025학년도)이다.
수도권 대학은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2000년 이후 입학정원을 늘릴 수 없었다. 정부의 첨단학과 증원으로 빗장이 풀리면서 수도권 쏠림을 우려한 지방대학의 반발을 부르기도 했다.
감사원도 지난해부터 교육부 등 소관 부처와 대학현장에 대해 관련한 사항을 대해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과 관련 교육부 감사에 나섰던 감사원은 최근 대학현장을 돌며 관련 감사를 진행하고 있다.
김 의원은 “대학의 수도권 쏠림이 더 강화됐다”면서 “지방 소멸과 교육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지방대 집중투자와 국가 균형발전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