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D,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행사서 OLED 기술 공개

입력 2025-05-06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SID 2025 13~15일 개최
삼성D, LEADTM으로 DIA 수상
LGD, 차량용 OLED 솔루션 공개

▲삼성디스플레이 LEADTM 기술 구조도  (사진제공-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LEADTM 기술 구조도 (사진제공-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행사인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에서 차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과 미래 모빌리티용 솔루션 등을 공개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SID 2025’는 13~1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개최된다. SID는 글로벌 디스플레이 기업과 연구진이 한자리에 모여 신기술 연구논문을 발표하고 중장기 미래 기술과 신제품을 전시하는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행사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무편광판 OLED 기술인 ‘LEADTM’으로 SID의 ‘올해의 디스플레이 상(DIA)’를 수상할 예정이다. DIA는 SID가 한 해 동안 출시된 제품 중 최고의 디스플레이에 수여하는 상이다.

SID는 “삼성디스플레이의 LEADTM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시트인 편광판을 대체하는 OCF(On Cell Film)기술로 휘도를 개선하고 야외 시인성을 높였으며 동시에 패널 두께도 20% 더 얇게 만들었다”고 호평했다.

LEADTM는 2021년 삼성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무(無)편광판 OCF기술이다. 기존 OLED 패널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던 편광판을 제거하고 외부광의 반사를 막아주는 기능을 내재화해 휘도는 높이고 소비전력은 감소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편광판을 제거해 패널의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유연하고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하는 데 탁월하다. 처음 폴더블 스마트폰에 적용됐으며 최근에는 바(Bar) 타입 스마트폰까지 적용 범위를 넓혀가며 그 기술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LG디스플레이 직원이 차량용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직원이 차량용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도 SID 2025에서 ‘신기술을 통한 사업 확대(Driving the future)’라는 주제로 차세대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대거 선보일 예정이다.

차량 내 모든 공간을 디스플레이화할 수 있는 차량용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특히 관람객과 고객사들의 눈길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화면이 최대 50% 늘어나면서도 일반 모니터 수준의 고해상도 100ppi(인치당 픽셀 수)와 적·녹·청(RGB) 풀 컬러를 동시에 구현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차량 내 센터페시아 영역에 적용해 심미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SDV(소프트웨어중심차량)에 최적화된 ‘필러투필러’ 제품과 차량 실내 천장에 돌돌 말아 숨길 수 있는 ‘슬라이더블 OLED’ 등 다양한 세계 최고 수준의 폼팩터 혁신도 선보인다.

LG디스플레이는 최근 세계 최초로 ‘40인치 필러투필러’ 상용화에 성공한 데에 이어 이번에는 57인치 차량용 필러투필러를 전시한다. 대형 화면이 운전석부터 조수석까지 대시보드를 가로지르는 초대형 솔루션이다.

이 밖에도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와 시야각 제어 기술인 ‘SPM 모드’도 소개한다. SPM 모드는 LG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상용화한 기술로 동승자가 조수석 앞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화를 감상하거나 게임을 해도 운전석에서는 보이지 않아 안전한 운전을 돕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최대 40만 원 인상’ 국가장학금…올해 2학기부터 얼마나 늘까? [경제한줌]
  • 여름 제철 ‘냉면 값’, 전국 광역지자체 대부분 1만원 웃돌아 [물가 돋보기]
  • 충청 이어 남부도 ‘물폭탄’ 예고…폭우 뒤엔 폭염 다시 찾아온다
  • 강선우·이진숙 ‘버티기’ 돌입...주말이 고비
  • 檢, 공소사실 추가했지만…대법 "이재용 혐의 전부 무죄"
  • 스타벅스, 또 프리퀀시 대란⋯불만 속출에도 ‘시스템 탓’
  • "통장 3개 중 1개 서울로"… 청약시장 수도권 쏠림 뚜렷
  • 엔비디아 훈풍에 잘나가던 반도체株…하이닉스 급락에 제동 걸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7.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0,428,000
    • -1.34%
    • 이더리움
    • 4,671,000
    • +7.88%
    • 비트코인 캐시
    • 678,000
    • -0.88%
    • 리플
    • 4,431
    • +9.52%
    • 솔라나
    • 240,300
    • +5.12%
    • 에이다
    • 1,100
    • +7.21%
    • 트론
    • 425
    • +3.41%
    • 스텔라루멘
    • 644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510
    • -2.54%
    • 체인링크
    • 23,320
    • +3.19%
    • 샌드박스
    • 434
    • +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