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ㆍ우크라이나, 광물협정 서명…재건 기금 창설하기로

입력 2025-05-01 08: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러시아 전쟁 돕는 어떤 국가도 재건 혜택 못 받아"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해 9월 미국 뉴욕 트럼프타워에서 만나고 있다. ( 뉴욕/로이터연합)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해 9월 미국 뉴욕 트럼프타워에서 만나고 있다. ( 뉴욕/로이터연합)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진통을 겪던 광물협정에 서명했다고 ABC뉴스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재무부는 보도자료에서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재건 투자 기금 설립 협정에 서명했다”며 “러시아의 전면 침공 이후 미국 국민이 우크라이나 방위에 제공해 온 막대한 재정적, 물질적 지원을 인정받음으로써 이번 경제 협력을 통해 양국은 공동의 자산과 재능, 역량을 바탕으로 우크라이나 경제 회복을 가속하기 위해 협력하고 공동 투자할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그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한 대가로 희토류 등 광물 개발에 관한 접근권을 요구하는 광물협정을 추진했다. 전쟁 지원금을 대준 만큼 우크라이나 광물을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광물협정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 논의와 함께 진행된 탓에 오랫동안 체결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결국 우크라이나가 협정을 받아들였다.

특히 미국은 그동안 러시아의 침공을 공개적으로 인정하는 것을 꺼렸지만, 이번 보도자료에는 ‘전면 침공’이라는 표현을 쓰며 대러 압박 수위도 높였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항구적인 평화 확보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 덕분에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역사적인 경제 협력 협정 체결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대통령이 말했듯이 미국은 이 잔혹하고 무의미한 전쟁 종식을 촉진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이번 협정은 트럼프 행정부가 장기적으로 자유롭고 주권적이며 번영하는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하는 평화 프로세스에 전념한다는 것을 러시아에 분명히 보여준다”며 “분명히 해두겠는데, 러시아의 전쟁 기계에 자금을 대거나 공급하는 어떠한 국가나 개인도 우크라이나 재건의 혜택을 받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합의는 미국이 종전을 중재하는 과정에서 우크라이나에 경제적, 군사적 지원을 계속할지를 놓고 몇 달간 이어졌던 긴장감 넘치는 협상을 마무리 짓는 것”이라며 “우크라이나에 암묵적인 안보 협정을 제공하는 동시에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백지수표를 줬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함”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빠른 사업·대형 평형 극대화 '철의 약속'
  • '소집 해제' 슈가, 직접 인사 전했다…"음주운전, 멤버들에게도 미안" [전문]
  • 트럼프 “대이란 공격 결정 2주가 최대...이란에 정신 차릴 시간 주고 있다”
  • [시승기] ‘조용하고 강한 SUV’…신형 넥쏘, 주행감에 놀라고 효율에 두 번 놀라
  • "새 아파트 살래요"...5년 이하 신축에 쏠리는 수요자들
  • 장마와 함께 돌아온 원조 '좀비물'⋯근원적 공포 표현한 '28년 후' [시네마천국]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시즌 중간 결산 대회…‘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우승 후보는? [딥인더게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247,000
    • -1.09%
    • 이더리움
    • 3,366,000
    • -3.83%
    • 비트코인 캐시
    • 657,000
    • -2.16%
    • 리플
    • 2,949
    • -1.27%
    • 솔라나
    • 196,000
    • -3.11%
    • 에이다
    • 804
    • -2.78%
    • 트론
    • 381
    • +0.26%
    • 스텔라루멘
    • 337
    • -2.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340
    • -3.82%
    • 체인링크
    • 17,410
    • -3.55%
    • 샌드박스
    • 342
    • -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