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환율 1400~1450원 예상…미·중 협상 모드 전환 시 하락 가능”

입력 2025-05-03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 지수가 2480선에서 강보합세를 보인 2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5.00(0.20%)포인트 상승한 2488.42를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코스피 지수가 2480선에서 강보합세를 보인 2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5.00(0.20%)포인트 상승한 2488.42를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미국과 중국이 관세협상 모드로 전환하면 이달 원·달러 환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백석현 신한은행 S&T센터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외환시장 동향 및 5월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달 원·달러 환율 레인지를 1400~1450원으로 내다봤다.

백 이코노미스트는 “석 달 연속으로 월초환율이 들썩인 뒤 하락하는 흐름이 반복됐는데, 그 원흉은 미국의 관세정책이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등 협상 최우선대상인 5개국과 협상 전환하고 연준을 향한 위협을 멈추며 시장 심리가 개선되는 과정에 환율은 4월 하순 반등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미 간 2+2 통상협의 후속환율 협의에 대한 경계감이 환율상 단을 제약하고, 달러 자산에 대한 폭넓은 수요감소도 환율 하락을 가능케 하리라 예상한다”며 “5월을 넘길 수 있지만, 여전히 대치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협상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환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부연했다.

백 이코노미스트는 분기별 원·달러 환율 전망치를 △2분기 1440원(1390~1488원) △3분기 1400원(1360~1440원) △4분기 1420원(1380~1460원) △연간 1428원(1360~1488원)으로 각각 예상했다.

아울러 원·엔 환율은 이달에 972~1043원(단순 재정환율)으로 전망했다. 백 이코노미스트는 “원화 약세 및 엔화 강세 압력이 지속되면서 환율은 고공행진 할 것”이라며 “달러 자산에 대한 광범위한 수요감소 및 미국의 환율정책에 대한 경계감이 엔화강세로 직결된 반면, 수출경쟁력 및 수출 경기악화 등에 원화 자산 매력 저하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원·엔 환율은 분기별로 △2분기 1000원 △3분기 1014원 △4분기 1014원 △연간 995원으로 각각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방산업체 재취업 러시…2년째 취업제한 ‘0건’ [K-방산, 다음을 묻다②]
  • [체험기] "이게 진짜 폴더블폰 맞아?"… 끝판왕 ‘갤럭시 Z폴드7’
  • "엄청난 밸류" 美서 극찬…'면비디아' 제대로 터졌다
  • 거침없는 코스피에 '시총 3000조' 시대 연 국내 증시
  • 야구 1위·빵의 도시 '대전'…제주 제치고 국내 인기 여행지로 부상 [데이터클립]
  • 단독 "카드 가맹점 매출액 산정 시 세금 제외" 입법 추진⋯카드사, 사면초가
  • "항해는 계속된다"…에이티즈 '재계약'이 독보적인 이유 [엔터로그]
  • 폭염, 생존게임 수준…일사병·열사병 온열질환 구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7.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1,070,000
    • +1.69%
    • 이더리움
    • 3,779,000
    • +5.65%
    • 비트코인 캐시
    • 700,000
    • +1.52%
    • 리플
    • 3,317
    • +2.44%
    • 솔라나
    • 214,200
    • +2.39%
    • 에이다
    • 855
    • +3.64%
    • 트론
    • 394
    • +0.51%
    • 스텔라루멘
    • 397
    • +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580
    • +1.77%
    • 체인링크
    • 19,520
    • +2.04%
    • 샌드박스
    • 369
    • +5.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