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부총리, 유급 시한 앞두고 의대생들 만나 “조속히 복귀해야”

입력 2025-04-29 22: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 부총리, 일주일 만에 의대생들과 두번째 간담회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의대생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교육부)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의대생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교육부)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9일 의과대학 학생들과 만나 조속한 복귀를 당부했다. 의대생 유급 시한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막판 복귀 설득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교육부는 이날 오후 의과대학 학생 간담회를 개최하고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과 향후 발전 방향 등에 대해 학생들과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수업에 복귀한 학생들과 아직 복귀하지 않은 학생들이 함께 참석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정부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다는 의견과 의대 특성상 위계적이고 공동체적인 문화 속에서 복귀 시 낙인효과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전했다고 밝혔다. 학생들이 졸업 이후 전공의 선발 과정에서도 복귀를 이유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대한 우려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 부총리는 "의대의 공동체적 특성을 고려해 학생들이 안심하고 복귀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학습권을 철저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부총리는 올해는 원칙에 따라 학사를 운영할 것임을 재차 강조하며 아직 복귀하지 않은 학생들은 조속히 복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학생들은 본과 3·4학년의 임상 실습과 관련해 전공의가 실습 교육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해온 만큼 현재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은 상황에서의 실습에 대해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이 부총리는 "우려하는 사항에 대해 함께 고민하면서 구체적인 방안을 찾고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의대 교육 여건 개선을 위한 재정도 이미 확보한 만큼 학생들은 조속히 복귀해 의대 교육 발전을 위한 의견을 제시해달라"고 했다.

그러면서 "서로 만나 대화하고 이해를 계속 쌓아나갈 때 비로소 신뢰를 기반으로 한 정책을 추진할 수 있다"며 "의료 정책에 대해서도 정부와 학생이 신뢰를 바탕으로 함께 논의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앞서 지난 22일에도 이 부총리는 의대생 10여명과 간담회를 한 바 있다. 이 부총리가 지난해 2월 이후 의대생들과 공식적으로 만나 대화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또 고개 숙인 백종원 “모든 방송 활동 중단, 더본코리아 경영에 집중”
  • 버핏 빈자리 메울까…에이블의 버크셔에 쏠린 눈
  • [르포]‘갓 수확·갓 착즙·갓 배송을 원칙으로’…풀무원녹즙 도안공장[녹즙의 재발견]
  • 韓 의약품에 美 관세?…정부 “공급망 안정 기여, 관세조치 불필요”
  • 이창용 “환율 예단 어려워…정치 불확실성 빨리 끝내야”
  • 관세 공포·요동치는 환율…아시아 증시서 발 빼는 개미들
  • 세종 아파트, 전세도 '들썩'…"공급 가뭄에 오를 수밖에"
  • 국힘 대선후보 단일화 격랑…金 "후보 일정 중단", 韓 "실패하면 국민 배신"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667,000
    • +0.32%
    • 이더리움
    • 2,553,000
    • -1.66%
    • 비트코인 캐시
    • 514,000
    • +1.98%
    • 리플
    • 3,039
    • -0.49%
    • 솔라나
    • 207,100
    • -1.19%
    • 에이다
    • 949
    • +0%
    • 이오스
    • 972
    • -4.71%
    • 트론
    • 348
    • -1.97%
    • 스텔라루멘
    • 372
    • +0.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550
    • -3.28%
    • 체인링크
    • 19,380
    • -0.77%
    • 샌드박스
    • 382
    • -3.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