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장중 상승폭 확대 2560대 등락…'산은 지분매각' 한화오션 11% 급락

입력 2025-04-29 13: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가 장중 상승 폭을 키워 2560대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1시 40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15.07포인트(0.59%) 오른 2563.93이다.

지수는 전장 대비 1.39포인트(0.05%) 오른 2550.25로 출발한 후 보합권에서 등락하다 점차 상승세가 강해졌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1093억 원, 2502억 원 순매도했다. 기관은 3307억 원 순매수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인 삼성전자(0.72%)는 장중 상승 전환했고 SK하이닉스(-0.16%)는 하락세다.

트럼프 행정부가 자동차 관세 완화 조치를 곧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현대차(1.48%), 기아(1.92%), 현대모비스(2.19%) 등은 상승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산업은행이 지분매각을 추진한다는 소식에 11.70% 급락 중이다. 이는 산업은행의 지분 매각 소식에 따른 주가 고점 및 오버행(잠저적 매도 물량) 부담 때문으로 풀이된다. 산업은행은 전날 한화오션 지분 일부를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 형태로 매각하기 위한 수요예측을 실시했다.

HD현대중공업(-0.13%), 삼성중공업(-0.46%) 등 조선주는 전반적으로 내리고 있다.

이외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2.78%)는 내림세고 NAVER(0.61%), LG에너지솔루션(0.14%), 삼성바이오로직스(1.06%), 셀트리온(3.23%) 등은 상승하고 있다.

전기장비(6.26%), 화장품(2.79%) 등이 상승세고 우주항공과 국방(-2.14%), 게임엔터테인먼트(-2.14%)등은 하락세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7.23포인트(1.00%) 오른 726.68이다.

지수는 전장 대비 3.55포인트(0.49%) 오른 722.94로 출발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28억 원, 241억 원 순매수하고 있다. 개인은 949억 원 순매도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5종목 가운데 알테오젠(1.82%), HLB(0.90%, 에코프로(0.39%), 레인보우로보틱스(1.08%) 등은 상승 중이고 에코프로비엠(-1.44%)은 하락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글로벌 청년실업] 세계 청년들의 좌절…일자리가 없다
  • “GPU 5만 장 확보” 현실성 있나…이재명式 AI 인프라 공약 뜯어보니 [위기의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 '관세폭탄'에 美 재고 바닥⋯현대차ㆍ기아 차값 인상 불가피
  • 트럼프 “미국, 이스라엘-이란 분쟁 개입할 수도 있어”
  • 폭염에 폭우까지 오락가락…올여름 '장마 피해' 더 커질 수 있다고? [이슈크래커]
  • “메모리ㆍ기판 소비전력 낮춰라”⋯반도체 기업도 기술 개발 박차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上]
  • 美서 힘 빠진 태양광, 소재ㆍ재활용 신사업 확장
  • ‘예스24’ 사태가 불러온 ‘디지털 소유권 환상론’…타 업계로도 번져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708,000
    • +2.07%
    • 이더리움
    • 3,621,000
    • +2.96%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1.41%
    • 리플
    • 3,152
    • +5.17%
    • 솔라나
    • 214,000
    • +1.95%
    • 에이다
    • 893
    • +2.06%
    • 트론
    • 383
    • +1.59%
    • 스텔라루멘
    • 365
    • +1.9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720
    • +0.05%
    • 체인링크
    • 19,260
    • +4.96%
    • 샌드박스
    • 378
    • +3.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