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국내 최초 생성형 AI 상업용 무료 공개…생태계 키워 AI 패권 노린다

입력 2025-04-23 15: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량 모델 3종 전면 개방
“GPU 부담 없이 활용”
중·소규모 업체 이용↑
멀티모달·추론모델도 공개
소버린 AI 확보 노린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가 대표가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 스퀘어 역삼점에서 ‘네이버클라우드 테크밋업’ 행사를 열고 하이퍼클로바X의 경량 모델 3종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가 대표가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 스퀘어 역삼점에서 ‘네이버클라우드 테크밋업’ 행사를 열고 하이퍼클로바X의 경량 모델 3종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가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상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무료 오픈소스로 공개한다. 국내 기업이 주요 생성형 AI 모델 중 ‘상업용’ 오픈소스를 무료로 공개하는 것은 최초다. 중·소규모 사업자도 비용 부담이 줄어들 국내 AI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할 전망이다. 이를 통해 미국과 중국 빅테크에 대한 AI 기술 종속에서 벗어나 소버린(Sovereign) AI를 구축하겠다는 복안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 스퀘어 역삼점에서 ‘네이버클라우드 테크밋업’ 행사를 열고 하이퍼클로바X의 경량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 시드(SEED) 3B △하이퍼클로바X 시드 1.5B △하이퍼클로바X 시드 0.5B의 개발을 완료하고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경량 모델의 범용성과 최근 증가하는 수요에 따라 이를 오픈소스로 공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네이버의 온 서비스 AI(On-Service AI) 전략이 가속화하며 네이버 서비스에 안정적이면서 비용 효율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경쟁력 있는 특화 모델들을 생산하고 있다. 최근 가장 니즈가 많은 모델은 경량 모델과 추론 모델”이라며 “이 중 기업들이 그래픽처리장치(GPU) 리소스 부담 없이 가장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량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한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클로바X 시드’의 오픈소스 공개를 통해 그동안 비용 부담 탓에 생성형 AI 도입을 망설였던 중·소규모 사업체를 중심으로 국내 AI 생태계가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존 국내 기업들의 주요 생성형 AI 모델은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 가능하고, 상업용으로는 무료로 사용할 수 없었다. 성낙호 하이퍼스케일AI 기술 총괄은 “플래그십 모델을 계속 고도화하고 있는데, 그 모델에 경량화 기술을 적용해 작은 모델을 만드는 비용은 기존의 10분의 1에서 20분의 1 정도로 줄였다”라고 설명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클로바X의 플래그십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하고 있는 추론(reasoning) 모델도 올해 상반기 내 공개할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텍스트에서 이미지·영상까지 발전시킨 하이퍼클로바X의 멀티 모달을 음성까지 확장한 하이퍼클로바X 음성 모델 기반 서비스도 선보일 예정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러한 일련의 하이퍼클로바X 생태계 확장을 통해 소버린 AI를 확보하고자 한다. 최근 글로벌 AI 패권 경쟁이 미국과 중국의 빅테크들을 중심으로 치열해지는 가운데, 외산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기술 자립을 이루겠다는 설명이다. 김 대표는 “미중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앞으로 국가의 기반 인프라가 될 AI가 어느 순간 남의 의지에 의해 멈출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확인되고 있다”면서 “소버린 AI는 국가 안보나 보안 사항에 특히 직결된 만큼 한 기업이 감당하기 어렵고 국가 차원에서도 매우 큰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단순히 AI 모델을 파는 것은 시작점일 뿐 이 생태계가 더 커진다면 AI를 위한 플랫폼,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등 비즈니스가 더 활성화될 것”이라며 “우리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한 창의적인 스타트업들과 사업 기회를 모색하는 등 시장 파이가 커지면서 얻을 수 있는 이익들이 많아질 수 있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만능'으로 평가받던 아이언돔·애로우…철벽이 뚫린 이유는 [리썰웨폰]
  • "신제품 나온다고?"…다마고치, Z세대 사로잡으며 레벨업! [솔드아웃]
  •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진입 신호탄…美 법안 통과에 '거래소·페이업체' 수혜
  • "여름엔 이거 먹어야 힘써요"…6월에 꼭 먹어야 하는 장어 [레저로그인]
  • 수도권 공급, 3기 신도시 ‘패스트트랙’이 답…수도권 추가 택지 발굴 가능성도
  • 권력 분산‧상호 견제 공감대…검찰개혁 ’시즌2’ 다시 시험대로
  • G7서 ‘33조 잠수함 수주’ 탄력받나 …K방산 기대 확산
  • ‘임금협상·주 4.5일제’ 현대차부터 상견례 “올해 완성차 하투(夏鬪) 예고”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122,000
    • -0.17%
    • 이더리움
    • 3,501,000
    • +0.34%
    • 비트코인 캐시
    • 640,500
    • -2.06%
    • 리플
    • 3,012
    • +0.3%
    • 솔라나
    • 203,800
    • -0.44%
    • 에이다
    • 841
    • -1.18%
    • 트론
    • 379
    • +0%
    • 스텔라루멘
    • 348
    • -0.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820
    • -2.95%
    • 체인링크
    • 18,170
    • +0.61%
    • 샌드박스
    • 357
    • +0.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