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유플러스는 통신 장비 제조업체 에릭슨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네트워크 장애 예측 기술을 시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시연은 국제표준기구 3GPP의 표준 기술 장비인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NWDAF)’를 통해 이뤄졌다. NWDAF는 네트워크 데이터를 분석해 장애를 예측하고, 필요한 조치를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장비다.
LG유플러스와 에릭슨은 기지국에서 트래픽 혼잡이 발생할 경우, NWDAF를 이용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별 과부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사용자별로 나눠 서비스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양사는 향후 인공지능에 의한 자율 조치 시행까지 결합할 경우 ‘인간 운영자’의 개입 없이도 네트워크가 작동되는 자동운영 솔루션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관련 뉴스
또한, 양사는 AI·기계학습 기반 기술로 네트워크 사용 패턴과 품질을 핵심 성과 지표(KPI)를 기준으로 분석하했다. 음성 품질 문제의 원인을 실시간으로 찾아 사전에 예측하는 기술도 함께 시연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이번 연구를 통해 고객의 불편 사항을 사전에 인지해 조치하는 운영 자동화 기술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고객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AI 기술을 네트워크 인프라에 적용하는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홍석원 에릭슨 CSS 기술총괄(상무)은 “3GPP 규격 기반이며, 네트워크 운용자동화 필수장비인 NWDAF의 네트워크 품질 분석, 예측 및 인사이트 제공 기술을 통해서 5G 네트워크 고도화 및 고객 경험 개선에 기여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