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콘텐츠, 넷플릭스서 미국 다음 인기 2위…영국ㆍ일본 제쳐”

입력 2025-04-16 09: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암페어, 2023년 이후 시청 데이터 분석
“전체 시청시간 점유율 미 59%, 한 9%”
“한국 콘텐츠, 넷플 글로벌 성공의 중추”

▲오징어게임2 포스터. 출처 넷플릭스
▲오징어게임2 포스터. 출처 넷플릭스

한국의 드라마ㆍ영화 등 콘텐츠가 넷플릭스에서 미국 할리우드 콘텐츠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15일(현지시간) 나왔다.

미국의 영화 전문 매체 데드라인은 이날 글로벌 미디어 시장분석업체 암페어가 ‘한국 콘텐츠 넷플릭스에서 미국 콘텐츠를 제외하고 가장 인기(South Korean shows are the most popular non-US content on Netflix)’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암페어가 2023년 이후 넷플릭스의 시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 콘텐츠는 넷플릭스 전체 시청 시간에서 미국 콘텐츠(56∼59%)에 이어 2위(8∼9%)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는 영국(7∼8%), 일본(4∼5%)의 콘텐츠보다 높다.

암페어는 “현재 한국은 넷플릭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미국 외(non-US) 프로그램과 영화 500개 중 85개(17%)를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별 넷플릭스 시청 시간 점유율 (2020~2023 상반기). 출처 암페어
▲국가별 넷플릭스 시청 시간 점유율 (2020~2023 상반기). 출처 암페어

한국 콘텐츠 가운데 가장 높은 성과를 거둔 작품은 ‘오징어게임 시즌 2’로 작년 하반기에 넷플릭스 글로벌 차트 1위에 올랐으며, 전 세계적으로 6억1990만 시간 스트리밍됐다.

이어 ‘엄마 친구 아들 시즌 1’, 요리예능 ‘흑백요리사 시즌 1’, ‘눈물의 여왕 시즌 1’, 사랑의 불시착 등이 상당한 시청률을 기록했다고 데드라인은 전했다.

또 암페어는 “넷플릭스가 한국 드라마와 영화에서 성공을 거둔 것은 탄탄한 콘텐츠 제작 및 라이선싱 전략 때문”이라며 “작년 하반기 동안 넷플릭스의 한국 콘텐츠 인기 상위 100편 중 절반 이상이 넷플릭스 오리지널이었고, 31%는 넷플릭스 독점작이었다. 또 이들 작품의 대부분은 한국의 콘텐츠 강자이자 엔터테인먼트 대기업 CJ ENM이 공급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콘텐츠 기업들 또한 세계적인 한류 열풍에 편승하고 있다”면서 “CJ ENM은 미국 스튜디오와의 전략적 배급 및 협업을 통해 해외 인지도를 높이고, 자체 스트리밍 플랫폼인 ‘티빙’의 글로벌 진출 가능성도 모색하고 있다”고 알렸다.

암페어의 오리나 자오 리서치 매니저는 “암페어의 넷플릭스 시청 데이터 분석 결과, 한국 콘텐츠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수출되고 소비되는 콘텐츠 중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넷플릭스의 국제적인 성공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콘텐츠 소유주들은 글로벌 한류 현상을 활용해 전 세계 시청자에게 도달 범위를 극대화하고 전략적 유통 및 협업을 통해 국제적 인기를 높일 수 있는 유리한 입장에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이지와 비욘세, 美 대중음악 큰 손들의 '억소리' 나는 차량 컬렉션 [셀럽의카]
  • 인기게임부터 인디게임까지…볼거리 많았던 '플레이엑스포 2025' [딥인더게임]
  • "못생겼는데, 또 귀여워"…요즘 젠지가 꽂힌 인형 '3대장' [솔드아웃]
  • “왜 이렇게 진심인 건데요”…하이보이즈 음방 소환, ‘언슬전’ 세계관 과몰입 [요즘, 이거]
  • 올 여름, 최악 폭염 오나...기상청 “평년보다 더 덥다”
  •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에도…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 '안갯속'
  • "너 내 동료가 돼라"…'포섭력 갑' 대선주자는 [왕이 될 상인가]
  • “개인리뷰 덕에 잘 팔려요”…이커머스, 커뮤니티 관리에 올인하는 이유[유승호의 유노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359,000
    • +0.09%
    • 이더리움
    • 3,579,000
    • +0.25%
    • 비트코인 캐시
    • 598,000
    • +0%
    • 리플
    • 3,283
    • -0.21%
    • 솔라나
    • 247,100
    • -0.24%
    • 에이다
    • 1,063
    • -2.21%
    • 이오스
    • 1,028
    • -2.19%
    • 트론
    • 380
    • +2.15%
    • 스텔라루멘
    • 405
    • -0.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050
    • -0.38%
    • 체인링크
    • 22,010
    • -2.83%
    • 샌드박스
    • 435
    • -3.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