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사건과 비슷한 尹형사재판…증거능력 여전히 인정될까

입력 2025-04-15 15: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란 우두머리 혐의’ 尹 첫 공판…양측 쟁점 대립
탄핵사건과 쟁점 유사…증거능력 인정은 미지수
“증거 능력 없어” vs “간접적으로 영향 줄 것”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첫 형사 재판이 열리는 14일 서울중앙지방법원 입구가 통제되고 있다. 법원은 지난 11일 밤부터 이날 자정까지 필수업무 차량을 제외한 차량의 출입을 금지하는 등 청사 보안을 강화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첫 형사 재판이 열리는 14일 서울중앙지방법원 입구가 통제되고 있다. 법원은 지난 11일 밤부터 이날 자정까지 필수업무 차량을 제외한 차량의 출입을 금지하는 등 청사 보안을 강화했다. 사진공동취재단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형사재판이 본격 개시된 가운데, 탄핵 사건에서의 증거가 형사재판에서도 통할지 관심이 쏠린다.

15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25부(재판장 지귀연 부장판사)는 전날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기소된 윤 전 대통령의 형사 사건 1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윤 전 대통령 형사재판 쟁점은 △비상계엄 선포의 위헌·위법성 △계엄 선포절차 △국회·선거관리위원회 장악 시도 △정치인 등 주요 인사 체포 지시 여부 등이다. 윤 전 대통령 탄핵 사건의 쟁점과 매우 유사하다.

다만 윤 전 대통령 탄핵 심판에서 사용된 증거가 형사재판에서는 인정되기 어려울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차진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형사재판은 탄핵심판보다) 구성 요건이 엄격하기 때문에 (재판 양상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며 “예를 들어 탄핵 사건에서는 (국회 측이 신청한 공범들을 대상으로 한) 수사기관의 조서 내용을 그대로 인정했는데, 형사 재판에서는 증거 능력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탄핵심판이 진행되는 동안 형사소송법 제312조를 들어 피의자 신문조서를 증거로 쓸 수 없다고 주장했다.

형소법 제312조는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 신문조서는 피고인 또는 피고인의 변호인이 재판에서 그 내용을 인정할 때 증거로 채택될 수 있다’고 규정한다. 윤 대통령 측이 증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는 의미다.

윤 전 대통령 탄핵 사건 결정문에 따르면 이미선·김형두 재판관도 보충 의견을 통해 형사 절차와 탄핵 심판 절차는 다르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 재판관 등은 “탄핵심판절차에서 피청구인이 증거에 부동의할 경우 헌법재판소가 다수의 증인을 채택해 증인신문을 진행해야 하므로 절차의 장기화를 피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피의자 신문조서나 진술 조서는 절차의 적법성이 담보되는 조서, 즉 진술 과정이 영상 녹화된 조서 또는 진술 과정에 변호인이 입회해 그 변호인이 진술 과정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확인한 조서에 대해서는 증거로 채택할 수 있다”고 봤다.

차 교수는 “헌재에서는 완화된 전문법칙에 따라 결정을 내렸지만 형사 법정에서는 그러지 않을 수 있다”고 부연했다.

형사 법정이 헌재의 결정을 완전히 무시하지는 못할 거라는 의견도 나온다.

임지봉 서강대 법전원 교수는 “형사재판에서는 (윤 대통령 측이) 수사기관의 조서를 부인해버리니 직접적으로 영향은 못 줄 것”이라면서도 “헌재의 판단에서 내란죄와 관련해 중요하게 다뤘던 쟁점들이 형사재판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형사 법정이 헌재의 판단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수사기관의 조서를 간접적으로 참조할 수 있다는 취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바티칸 "전생을 주님·교회에 헌신"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설레발은 필패, 입을 조심해야”…월드컵 역사를 수놓은 김칫국 한마당 [이슈크래커]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는 과거 주민…층간소음 이웃 갈등 잦았다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서울 토허제 구역 내 입주권도 규제 대상…“준공 후 실거주 2년”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160,000
    • +2.48%
    • 이더리움
    • 2,345,000
    • +1.87%
    • 비트코인 캐시
    • 490,400
    • +1.49%
    • 리플
    • 3,043
    • +2.05%
    • 솔라나
    • 200,500
    • -0.59%
    • 에이다
    • 925
    • +2.89%
    • 이오스
    • 939
    • +4.22%
    • 트론
    • 348
    • -1.42%
    • 스텔라루멘
    • 371
    • +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090
    • +2.53%
    • 체인링크
    • 19,370
    • +2.22%
    • 샌드박스
    • 407
    • +6.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