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기후동행카드’가 출시 1년여 만에 누적충전 1000만 건을 돌파했다. 1주년 기념 이벤트에 참여한 시민들은 “교통비 절감”, “친환경 실천” 측면에서 기동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이용범위를 확대하고, 맞춤형 혜택을 늘려 최고의 대중교통 정책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구상이다.
15일 시는 11일 기준 기후동행카드의 누적 충전 건수가 1001만 건(△실물 690만건, △모바일 311만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월 27일 첫선을 보인 지 약 1년 2개월 만에 이용이 빠르게 증가한 것이다. 기후동행카드는 지하철과 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하나의 카드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통합 대중교통 정기권으로, 출시 3개월 만에 100만 장을 판매하며 ‘밀리언셀러’ 정책에 이름을 올렸다.
시민들의 뜨거운 호응에 힘입어 서비스도 확대됐다. 김포, 남양주, 구리, 고양, 과천 등 수도권 지하철까지 이용범위를 넓혔고, 신용카드 결제·후불형 카드도 도입했다. 내·외국인 관광객 및 단기 이용자를 위한 단기권(1·2·3·5·7일권)을 출시했고, 서울대공원, 서울식물원, 서울달 등 주요 문화시설과의 연계 할인 혜택도 제공했다.
이용범위 확대는 올해도 예정돼 있다. 내달 3일 성남시 수인분당선 10개역(가천대·태평·모란·야탑·이매·서현·수내·정자·미금·오리)과 경강선 3개역(판교·성남·이매)에 기동카가 적용되고, 하반기에는 하남시와 의정부시 지하철에서도 사용 가능해질 전망이다. 하남시 5호선 4개역(미사·하남풍산·하남시청·하남검단산)과 1호선 5개역(망월사·회룡·의정부·가능·녹양), 의정부 경전철 15개(역탑석·송산·어룡·곤제·효자·경기도청북부청사·새말·동오·의정부중앙·흥선·의정부시청· 경전철의정부·범골·회룡·발곡) 등이다.

AI 추천 뉴스
맞춤형 할인도 늘린다. 올해 하반기부터 청소년, 다자녀 부모, 저소득층 대상 혜택이 도입된다. 만 13~18세 청소년들은 청년과 동일하게 7000원 할인된 가격으로 30일권을 이용할 수 있다. 다자녀 부모 및 저소득층 할인 역시 30일권에 한해 적용되며, 2자녀 부모의 경우 5만 원대, 3자녀 부모 및 저소득층의 경우 4만 원대의 가격으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시는 올해 하반기 시행을 목표로 보건복지부에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를 요청했고, 비대면 자격확인 시스템 연계 등도 준비하고 있다.
디자인도 새로워진다. 내달부터 서울 교통 통합브랜드인 ‘GO SEOUL(고 서울)’을 적용한 기후동행카드를 만날 수 있다. 특히 이번에 출시되는 ‘GO SEOUL’ 카드에는 재활용 플라스틱(R-PVC) 소재가 활용돼 친환경적 가치까지 담아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기후동행카드는 교통비 부담을 줄이는 것은 물론,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시민들의 자발적 실천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일상 속에서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선하고, 교통복지와 환경이라는 두 축을 함께 아우르는 서울시 대표 정책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