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유망 기업서 경험 쌓고 싶다면…‘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 알아볼까 [경제한줌]

입력 2025-04-08 15: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생활 속에서 쉽게 실천 가능한 경제·절약 관련 팁들을 소개합니다. 언제나 사람들의 관심사였던 현명한 금융투자, 알뜰한 소비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올해 들어 더욱 거세진 불경기 여파로 취업 시장이 더 얼어붙고 있습니다. 청년 취업 역시 날이 갈수록 상황이 안 좋아지며 좋은 일자리는 인턴조차도 구하기 힘들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죠.

통계청에 따르면 2월 기준 청년 실업률은 7.2%로 집계됐어요. 하지만 통계청 조사는 지난 일주일 동안 일한 적이 없고, 일을 주면 당장 일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지난 한 달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한 사람만을 실업자로 분류해 실제 현실과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체감 청년실업률은 16.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전년 동기 대비 0.8%포인트(p) 오른 거죠. 실제 취업난으로 고통받는 청년은 이보다도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안정적인 일자리를 구하기 힘들고, 좋은 직장에 들어가기 위한 반 필수적인 코스가 된 인턴조차도 경쟁률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이죠.

이에 서울시에서는 ‘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들에게 양질의 인턴 자리 및 취업 연계 도움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프로그램을 신청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 프로그램은

‘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는 청년들이 국내외 유망 기업이나 국제 협력기관에서 인턴으로 일하며 취업도 할 수 있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2021년에 처음 시행됐고, 이번에 5회째를 맞고 있어요. 이번에는 270명의 청년 인턴을 모집할 계획이죠. 여기서 선발되면 DHL코리아, 한국3M, 퀄컴코리아, SR 등 국내외 유망기업 77곳, 주한미국상공회의소,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등 국제협력기관 24곳 등에서 일할 수 있어요.

모집 직무 분야는 경영사무, 영업·광고·마케팅, 국제협력 3개 분야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 중 원하는 분야로 지원하면 됩니다. 참여기업 및 기관의 설명회, 이력서 및 면접 컨설팅, 멘토링 시스템 역시 구축할 예정이죠.

이번 프로그램은 기존까지와는 달리 인턴십 기간을 3개월에서 4개월로 확대했고, 인턴 시작 전 5월과 6월 사이 사전직무교육 및 직장적응교육 100시간을 받도록 했습니다.

이후 7월부터 10월까지 인턴으로 실무경험을 쌓고, 해당 기업으로의 채용연계나 하반기 공채 등으로 취업 도전까지 나설 수 있어요. 국제협력 분야의 경우엔 4개월간의 인턴십 진행 후 하반기 공채 시즌을 준비하고, 올 연말까지 취업 연계를 포함한 사후관리를 지원받을 수 있죠.

▲2025 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 모집 포스터 (사진제공=서울시)
▲2025 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 모집 포스터 (사진제공=서울시)

‘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에 지원하려면

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는 서울시에서 거주하는 18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이라면 휴학생, 졸업 예정자, 취준생 등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요. 신청기한은 14일 오후 5시까지입니다.

신청하고 싶다면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나 ‘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에 접속해 공고 확인 후 지원서를 작성하고 온라인을 통해 접수하면 돼요. 필수제출서류는 자기소개서, 주민등록등본, 개인정보 수집 이용 제공 동의서, 최근 1개월 이내에 발급한 졸업증명서 또는 졸업예정증명서 등이 필요합니다.

접수 후 1차 서류전형, 2차 역량평가, 3차 최종면접을 통해 최종 합격자를 뽑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2021년 1기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894명이 인턴을 경험했고, 이 중 459명이 취업에 성공하는 등 취업 연계로의 성공률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좋은 일자리를 찾고 있는 서울시 거주 청년이라면 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에 도전해 보는 게 어떨까요.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이스라엘, 이란 공습 소식에 국제유가 7% 급등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내수부터 살리자” 車 업계, 할인러시…개소세 인하 연장 목소리도
  • 희토류 물꼬 튼 G2…對中 반도체 수출 규제도 풀릴까
  • 실용주의 정책·한중 해빙 무드...K뷰티, 中 시장 재공략 기대감 고조[이재명 정부 유통산업 전망⑤]
  • 규모 확대 후 처음 개최되는 '2025 피파 클럽월드컵', 관전 포인트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10:4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219,000
    • -3.32%
    • 이더리움
    • 3,482,000
    • -8.61%
    • 비트코인 캐시
    • 562,000
    • -4.18%
    • 리플
    • 2,943
    • -5.13%
    • 솔라나
    • 199,800
    • -9.18%
    • 에이다
    • 876
    • -8.56%
    • 트론
    • 373
    • -2.61%
    • 스텔라루멘
    • 358
    • -6.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70
    • -8.43%
    • 체인링크
    • 18,070
    • -10.99%
    • 샌드박스
    • 357
    • -9.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