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美 경기 후퇴·관세 헤지수단으로 엔 꼽아…달러당 140엔대 초반 전망

입력 2025-04-02 15: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재 엔화 가치에서 약 7% 상승한 수준

▲엔화와 미국 달러 지폐가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엔화와 미국 달러 지폐가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세계 최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미국 관세 리스크와 경기침체에 대한 최선의 헤지 수단으로 엔화를 꼽았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그룹은 미국 경제와 관세를 둘러싼 불안감을 배경으로 안전자산인 엔화 수요가 늘어나면서 올해 엔화 환율이 달러 당 140엔대 초반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카막샤 트리베디 골드만삭스 글로벌 통화 및 신흥시장 전략 책임자는 “미국 경기침체 리스크가 커지면 엔화가 투자자들에게 가장 좋은 헤지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엔화 환율 달러당 140엔이라는 전망은 현재 수준에서 엔화 가치가 7%가량 오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트리베디 책임자는 “미국의 금리와 주가가 동시에 하락할 때 엔화는 가장 좋은 성과를 내는 경향이 있다”며 “미국의 성장 둔화 전망에 대해 이전보다 더 매력적인 헤지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전문가들은 미국 경기 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글로벌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어떠한 자산이 좋은 성과를 보일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헤지펀드들은 엔화가 현재 수준에서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포지션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들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가 미국 경제에 부담이 될 것이라며 연내 금리 인하 횟수 전망을 기존 2회에서 3회로 늘렸다. 또 경기와 관세를 둘러싼 우려를 이유로 S&P500지수 전망도 낮춰잡았다.

관세도 주요 리스크 중 하나지만 4일 발표되는 3월 미국 고용지표 등 경제지표가 달러화 시세에 더 큰 재료가 될 것으로 트리베디 책임자는 내다봤다. 실제로 1일 발표된 2월 미국 고용지표에서 노동시장이 점차 냉각되고 있다는 점이 재차 부각되자 엔화 가치는 상승했다.

트리베디는 “미국 노동시장 지표가 약세 서프라이즈로 나온다면 외환시장 투자자와 미국 성장 전망에 매우 주목하는 글로벌 시장 투자자들에게 좋은 초점이 될 것”이라며 “이러한 우려에 대해 엔화는 매우 좋은 헤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러한 관측에 기반한 거래에는 리스크가 따른다. 헤지펀드는 올해 들어 엔화 약세 포지션을 줄였지만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숏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다. 투기세력들은 2021년 이후 몇 번의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엔화 약세를 예고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크립토위크' 순항 기류에 비트코인 소폭 상승…이더리움 3300달러 돌파
  • 해마다 오르는 최저임금...흔들리는 중기·소상공인 생존권
  • 광주·전남 곳곳 홍수주의보…도로·건물 침수 속출
  • 이재용 ‘경영권 부당승계’ 19개 혐의 전부 무죄 확정…檢기소 4년 10개월만
  • ‘삶의 질’ vs ‘생산성’⋯노동계-경영계 극명한 입장 차
  • 스타벅스, 또 프리퀀시 대란⋯불만 속출에도 ‘시스템 탓’
  • "오작동 아니었으면 못 잡았다"…안동 '여고 시험지 유출' 전말
  • '골 때리는 그녀들' 구척장신, 불나비에 3-1 승리⋯4강 직행ㆍ김진경 멀티골
  • 오늘의 상승종목

  • 07.17 14:4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533,000
    • +0.05%
    • 이더리움
    • 4,591,000
    • +6.62%
    • 비트코인 캐시
    • 673,500
    • -1.25%
    • 리플
    • 4,285
    • +7.04%
    • 솔라나
    • 234,300
    • +4.69%
    • 에이다
    • 1,045
    • +2.55%
    • 트론
    • 423
    • +2.92%
    • 스텔라루멘
    • 644
    • +1.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250
    • -4.5%
    • 체인링크
    • 22,730
    • +3.37%
    • 샌드박스
    • 429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