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투자證 “에이피알, 화장품 섹터 대표 해외 성장주”

입력 2025-03-26 08: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투자의견 ‘매수’ 유지…목표주가 9만 원으로 상향

한화투자증권은 에이피알에 대해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화장품 매출을 키우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7만 원에서 9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6만8800원이다.

26일 한유정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1분기 에이피알의 연결 매출액은 2334억 원, 영업이익은 419억 원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 355억 원을 상회할 전망”이라며 “화장품 중심의 고성장이 외형 성장을 견인하고, 기업 간 거래(B2B) 매출 비중 증가 및 계절적 요인에 따라 프로모션 집행 규모가 전 분기 대비 감소하며 수익성이 전 분기 대비 개선될 것”이라고 했다.

한 연구원은 “올해 해외 매출 비중은 67%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며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는 미국, 일본”이라고 했다.

그는 미국 매출에 대해 “지난해 전체 매출의 44%에 달하는 매출이 4분기에 집중됐는데, 계절적 요인을 무시하고 올해 1분기에도 판매 호조가 이어지고 있다”며 “현재 미국 성장은 온라인 중심으로, 추후 오프라인 채널 입점 시 추가 성장이 가능한 구조”라고 했다.

또 그는 일본 매출에 대해 “올해 1월부터 본격적인 오프라인 유통망 확대가 이어지고 있다”며 “1분기 말 기준 약 500개 매장 입점이 예상되며, 연내 3000개 매장 입점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했다.

한 연구원은 “공격적으로 보였던 올해 매출 가이던스 1조 원 달성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현재 기준 올해 매출 비중 추정치는 디바이스 40.5%, 화장품 54.3%로 화장품의 압도적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여전히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은 개화 단계인 점, 주요 해외 시장에도 디바이스 제품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는 점, 디바이스와 화장품의 통합된 사업 구조를 기반으로 화장품을 먼저 경험한 고객이 디바이스 구매로 확장될 수 있는 전환 구조인 점, 화장품 브랜드 인지도 향상에 따라 개선된 광고 효율과 트래픽이 디바이스로 전이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디바이스 판매 호조도 추가적인 상승 여력으로 남아있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SKT 20년 이용했는데 해킹이라니"…전국 대리점 '유심 대란'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소방청, 대구 북구 산불 관련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 청주 고교서 특수교육 학생 흉기 난동… 교장 등 6명 부상 [종합]
  • 안전 운전도 하고, 벌점 감경 포인트도 쌓고…‘착한운전 마일리지’는?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364,000
    • +0.13%
    • 이더리움
    • 2,606,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506,000
    • -0.59%
    • 리플
    • 3,352
    • +6.48%
    • 솔라나
    • 217,900
    • +1.54%
    • 에이다
    • 1,040
    • +2.97%
    • 이오스
    • 986
    • +1.44%
    • 트론
    • 355
    • -1.66%
    • 스텔라루멘
    • 418
    • +1.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200
    • -5.9%
    • 체인링크
    • 21,610
    • +2.66%
    • 샌드박스
    • 437
    • -0.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