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원공제회, 11년 연속 흑자…지난해 운용 수익률 11%

입력 2025-03-25 09: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 한국교직원공제회)
(사진= 한국교직원공제회)

한국교직원공제회가 지난해 당기순이익 7216억 원을 달성하며 11년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고 25일 밝혔다. 준비금 적립률은 113.9%를 기록하며 7년 연속 100% 이상을 유지했다.

교직원공제회의 지난해 말 자산은 74조590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3%(10조4324억 원) 증가했다. 자산 비중은 투자자산이 79.5%(59조2220억 원)로 가장 높았고, 회원대여 15.0%(11조2066억 원) 기타자산 5.5%(4조1623억 원)가 뒤를 이었다.

투자자산군별 보유 비중은 △주식 17.2%(10조1700억 원) △채권 13.6%(8조786억 원) △기업투자 27.1%(16조273억 원) △부동산 25.8%(15조2592억 원) △인프라 16.3%(9조6869억 원)였다. 국내외별 보유 비중은 국내 39.3%, 해외 60.7%다.

공제회는 경제적‧정치적 불확실성이 만연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선별적인 투자 기회 발굴과 안정적인 자금 운용으로 11.1%의 우수한 기금운용 수익률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또 탄력적인 자산배분 및 포트폴리오 운용을 통해 자산군별로도 금융투자 10.8%, 기업투자 14.2%, 대체투자 9.3% 등 전 부문에서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했다.

특히 금융투자의 경우, 해외주식 부문에서는 북미 지역 및 정보기술(IT) 업종에 선제적으로 비중을 확대하면서 30.9%의 수익률을 달성했다.

기업투자의 경우, 국내에서는 올리브영, 티맥스소프트 원리금 회수 등 우량 사모 지분 및 대출 투자를 통해 6.4%의 수익률을 거뒀다. 해외에서는 바이아웃 및 세컨더리 프라이빗에쿼티(PE)의 운용 호조와 사모대출 펀드의 안정적 수익 창출로 19.9%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대체투자의 경우, 지난해 부서 신설을 통해 본격 확대 기조에 들어선 인프라 투자에서 16.1%의 성과를 달성했다. 국내 인프라에서는 안정적 배당수익 기반의 9.1% 수익률을, 해외 인프라에서는 글로벌 에너지 수요 증가 및 디지털화 등에 힘입어 18.7%의 수익률을 달성했다.

부동산 부문에서도 국내 선순위 대출 펀드 및 리츠 투자, 해외 멀티패밀리 섹터 대출 투자 등을 통해 5.4%의 수익률을 거뒀다.

정갑윤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은 “해외투자 비중이 높아진 만큼 해외 사무소 설치 등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기금운용 안정성 강화를 통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공제회는 올해 기금운용 자산은 62조 원, 기금운용 수익은 3조 원, 기금운용 수익률은 5.2%를 목표로 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에 월가 비관론 확산…증시 전망 줄줄이 하향
  • 한미 재무·통상장관, 이번주 美워싱턴서 '2+2 통상협의'
  • [종합] 한덕수, FT와 인터뷰서 “대선 출마 결정 아직…미국 관세에 맞대응 안 해”
  • 트럼프, 국세청 수장 인선에 베선트 ‘손’…백악관서 힘 빠지는 머스크
  •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에 150원 오른다…대선 이후 인상 전망
  • “미쉐린 식당 모두 모였네”…백화점, 고급·차별화 F&B로 불황 타개
  • 심현섭, 오늘(20일) 장가가는 날…11살 연하 정영림과 결혼식 현장 공개
  • 16개월 아기부터 77세 어르신까지…123층 롯데월드타워 ‘스카이런’ 수직 질주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706,000
    • -0.33%
    • 이더리움
    • 2,292,000
    • -1.97%
    • 비트코인 캐시
    • 484,400
    • +0.06%
    • 리플
    • 2,999
    • -0.43%
    • 솔라나
    • 198,100
    • -1.2%
    • 에이다
    • 896
    • -1.32%
    • 이오스
    • 952
    • +3.48%
    • 트론
    • 354
    • +1.14%
    • 스텔라루멘
    • 353
    • -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60
    • -0.19%
    • 체인링크
    • 19,300
    • +2.93%
    • 샌드박스
    • 389
    • +0.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