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조선과 협력” 트럼프, 이유 있었네…중국 선박 건조능력, 미국의 232배

입력 2025-03-06 15: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선박건조 능력 중국의 0.43% 수준
트럼프, 백악관에 선박관련 조직 신설
닛케이 “한ㆍ일 조선 산업과 협력 절실”

(출처 닛케이)
(출처 닛케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중국 압박을 거세게 하고 있지만, 낙후된 조선산업으로 해군력에 있어서는 대응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조선산업에 있어서는 한국, 일본과의 협력을 모색할 것이라는 관측이 커지고 있다.

6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미 해군 정보국 분석을 인용해 지난해 중국의 신규 선박 건조 능력이 미국의 232배에 달하며 이민자 추방으로 노동력까지 부족해진 미국은 한국, 일본과 협력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 재집권 후 첫 의회 연설에서 “국방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민간과 해군 조선업을 부활시킨다”라며 “백악관에 조선 관련 부서를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조선업 부활을 노린 정책이다.

그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조선산업을 경계한다는 뜻이다. 영국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중국은 2023년 전 세계 선박 건조 능력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지난해 신규 선박 수주량의 70%도 중국이 챙겨갔다.

미국은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비대칭 해군력을 지녔다. 그러나 미국의 선박 건조능력은 중국의 0.43%에 불과해 해군 전력이 중국에 밀릴 가능성이 크다.

해상무역도 마찬가지다. 영국 로이즈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 해운기업은 전 세계 해상운송의 40%를 차지한다. 중국이 선박 건조와 해상운송 분야를 거머쥐면, 미국의 안보 위기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미국이 위기를 느끼고 있지만 대안 마련은 쉽지 않다. 조선업은 전형적인 노동집약형 산업이다. 새롭게 조선소를 건설하고 경쟁력을 확대하는 데 천문학적인 비용이 든다. 나아가 적잖은 시간도 필수다. 이에 데이비드 제이싱어 미시간공대 교수는 닛케이와 인터뷰에서 “미국은 중국 해군력 증강에 맞서기 위해서는 고도의 건조기술을 지닌 한국·일본 등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작년 11월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된 직후 윤석열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조선업 분야에서 한국과 협력하기를 희망한다”며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일반 선박과 군함 건조 능력이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멕시코産에 30% 관세"⋯ 삼성ㆍLGㆍ현대차, 美 수출전략 '리스크' 확대
  • 고기, 계란, 생선, 수박까지 금값⋯‘장봐서 해먹느니 HMR 산다’
  • 월가 멘토들, 시장 낙관론에 일침…“트럼프 불확실성에도 자만 만연”
  • 日, 조선·철강 ‘부활’ 시동…K-산업계는 ‘긴장 고조’
  •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한반도 정신문화 깊이 스며 있어
  • 김준호♥김지민, 13일 결혼식 현장 포착⋯공주님 에스코트하는 팔불출
  • 사사건건 ‘법적 수단’ 동원 尹, 이번에는 구속적부심 카드 꺼낼까
  • 제1180회 로또당첨번호조회 ‘1등 11명 당첨’…당첨지역 ‘경기 3곳ㆍ경남 2곳ㆍ부산 1곳 등’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175,000
    • +0.92%
    • 이더리움
    • 4,040,000
    • +1.13%
    • 비트코인 캐시
    • 689,000
    • -0.14%
    • 리플
    • 3,849
    • +3.58%
    • 솔라나
    • 219,400
    • +0.78%
    • 에이다
    • 1,003
    • +4.59%
    • 트론
    • 411
    • +0.24%
    • 스텔라루멘
    • 637
    • +2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950
    • +1.27%
    • 체인링크
    • 21,330
    • +4.46%
    • 샌드박스
    • 430
    • +10.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