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주년 맞은 현대차·기아 美 모하비주행시험장…정의선 “혁신 거점될 것”

입력 2025-02-13 10: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05년 설립 후 5000여 대 차량 주행 테스트 거쳐
정의선 회장, 20주년 기념식 참석해 직원들과 소통
정 회장 “앞으로의 혁신에도 핵심 역할 할 것”

▲정의선 회장이 행사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 사인을 하는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정의선 회장이 행사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 사인을 하는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기아의 품질 경영을 상징하는 미국 캘리포니아 모하비주행시험장이 설립 20주년을 맞았다.

현대차·기아는 10일(현지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시티에 위치한 모하비주행시험장에서 2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비롯해 장재훈 완성차 담당 부회장, 호세 무뇨스 현대차 최고경영자(CEO), 양희원 사장(R&D 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정의선 회장은 “현대차그룹은 지난 20년 동안 모하비주행시험장과 연구원들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에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룰 수 있었다”며 “우리는 미래를 내다보면서 인공지능(AI), 로봇 공학,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전동화, 수소 기술과 같은 선구적인 기술에 집중해야 하고, 이러한 혁신을 위해 모하비주행시험장과 같은 연구시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현지 연구원들에게 “앞으로 다가올 20년의 여정에서도 도전을 기회로, 좌절을 성공으로 전환시키는 사명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행사에 참석한 모하비주행시험장 임직원들도 최고의 안전과 품질, 성능을 제공하겠다는 고객과의 약속을 재확인하며 더욱 빈틈없는 담금질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모하비주행시험장 주행시험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모하비주행시험장 주행시험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2005년 현대차·기아는 모하비 사막 한가운데 약 1200억 원을 투자해 여의도 면적의 두 배에 달하는 1770만㎡(약 535만 평) 규모의 모하비주행시험장을 건립했다.

이 주행시험장은 △10.3㎞의 타원형 고속주회로 △6개 기울기로 구성된 등판성능 시험로 △5㎞의 와인딩트랙 △18종류 노면의 승차감 시험로 △오프로드 시험로 △미국 고속도로 재현 시험로 등으로 구성돼 있다.

현대차·기아는 이곳에서 승차감과 핸들링 평가부터 소음, 진동 및 내구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여름철 54℃를 넘나드는 기후를 활용해 차량과 부품의 열 내구성 평가나 냉각 성능을 시험하는 등 차량의 품질을 다각도로 검증하고 있다.

모하비주행시험장에서는 지금까지 5000여 대의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차량이 약 3200만㎞ 이상의 혹독한 주행 시험을 거쳤으며 이를 통해 최고 수준의 품질과 내구성, 신뢰성, 안전성을 갖추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곳에서 가혹한 테스트를 거쳐 완성된 현대차·기아 신차들은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었다. 그 결과 현대차·기아는 2010년 글로벌 톱 5에 진입한 이후, 2022년에는 세계 판매 3위에 올라 지난해까지 3년 연속 3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한편 현대차·기아는 북미 시장에 최적화된 모빌리티 제공을 위해 제품 기획부터 디자인, 설계, 시험에 이르는 R&D 현지화 체계를 구축해왔다.

1986년 미시간주에 미국기술연구소(HATCI)를 설립한 것을 시작으로, 캘리포니아주에는 파워트레인 전문 연구시설인 ‘치노 랩’, ‘모하비주행시험장’, ‘디자인&엔지니어링 센터’, ‘북미품질센터’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실리콘 밸리에는 차세대 기술 연구시설이자 혁신 거점인 ‘크래들(CRADLE)’도 운영 중이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미국 현지 R&D 연구거점과 앨라배마 및 조지아 등에 있는 생산거점을 포함해 미국에서 직간접적으로 57만 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으며, 2002년부터 미국에 205억 달러(약 30조 원) 이상을 투자해오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가격 인상은 ‘껑충’...식품기업, 연구개발비 투자는 매출의 1%미만 ‘찔끔’
  • "번호이동 가능한가요?"…SKT 해킹 난리에 또 소외된 노년층 [이슈크래커]
  • 교대가 어쩌다가…'내신 6등급' 입결에 더 현타오는 교사들 [해시태그]
  • 한덕수 단일화 ‘반대 입장’ 한동훈…막판 변수로 작용하나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다음 타깃은 ‘재한외국인’…영어 베타 버전 가동
  • 대법, ‘이재명 공직선거법’ 상고심 5월 1일 선고...대선 구도 영향
  • 임신 준비 전 건강 체크는 필수…‘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경제한줌]
  • 다 올랐는데 韓 코인은 어디에?…2025년 김치 코인 현주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277,000
    • +0.98%
    • 이더리움
    • 2,629,000
    • +2.42%
    • 비트코인 캐시
    • 534,500
    • +6.26%
    • 리플
    • 3,307
    • +0.46%
    • 솔라나
    • 215,800
    • +1.84%
    • 에이다
    • 1,027
    • +1.78%
    • 이오스
    • 1,003
    • +0.91%
    • 트론
    • 354
    • -0.84%
    • 스텔라루멘
    • 405
    • -1.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300
    • -1.49%
    • 체인링크
    • 21,600
    • +1.12%
    • 샌드박스
    • 436
    • +0.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