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대형 평형 잘나가네”…한남더힐 109억·타워팰리스 73억 신고가 행진

입력 2025-02-03 13: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용산구 한남더힐 전경 (이투데이DB)
▲서울 용산구 한남더힐 전경 (이투데이DB)

최근 서울 부동산 시장 내 거래량이 급감하고 집값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지만, 대형 아파트 가격은 연일 신고가를 경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른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과 함께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겹치면서 아파트 시장 양극화가 심화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3일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주거용부동산팀이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 동향을 분석한 결과 1월 서울 전용면적 135㎡ 이상 대형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06.6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지난해 12월 106.4보다 0.2포인트(p) 오른 것으로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시작 이후 최고 수준이다.

특히 강남·서초·송파·강동·용산·성동 등 서울 11개 구를 묶은 강남권 대형 아파트 가격지수는 107.4로 서울 평균을 웃돌았다. 반면 강북 14개 구의 대형 아파트 가격지수는 104.3으로 강남권보다 3.1p 낮았다.

최근 서울 내 아파트 거래량이 3000건 미만을 기록할 정도로 거래 절벽이 계속되고 있지만 서울 대형 아파트 몸값은 신고가를 갈아치우고 있다.

1월 서울 용산구 한남더힐 전용 235㎡형은 역대 최고가인 109억 원에 거래됐으며 같은 달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4차 전용 208㎡형도 77억 원에 손바뀜되며 최고가 기록을 새로 썼다. 같은 달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3차 전용 244㎡형 역시 최고가인 73억 원에 매매됐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주거용부동산팀장은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양도소득세 부담이 지속하면서 똘똘한 한 채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며 “강남권을 중심을 대형 아파트 수요가 급등하며 가격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북 북동부 산불 사망자 18명…부상자 19명·실종자 1명
  • 임영웅, 세금 체납으로 51억 펜트하우스 한때 압류…"우편물 확인 못 해"
  • 단독 금융당국 '보험사기 블랙리스트' 검토 [8조 원의 행방上]
  • 12단에서 16단으로…HBM, 얼마나 더 쌓을 수 있을까 [ET의 칩스토리]
  • 이재명 ‘선거법 위반’ 2심 오늘 선고…대선 구도 영향
  • ‘유행 따라 출격, 끝은 상폐?’…운명의 갈림길 선 ETF
  • "싱크홀 전조 현상 있었다…지하철 공사 원인 가능성 70%"
  • 비트코인, 美 소비자신뢰지수 위축에 횡보…솔라나·도지는 일주일새 10%↑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3.26 11:0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187,000
    • +0.55%
    • 이더리움
    • 3,050,000
    • +0.03%
    • 비트코인 캐시
    • 498,200
    • +2.36%
    • 리플
    • 3,630
    • +1.06%
    • 솔라나
    • 211,600
    • +2.62%
    • 에이다
    • 1,107
    • +2.59%
    • 이오스
    • 845
    • +0.84%
    • 트론
    • 336
    • +0%
    • 스텔라루멘
    • 440
    • +3.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400
    • +1.85%
    • 체인링크
    • 22,780
    • +2.71%
    • 샌드박스
    • 459
    • +4.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