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근식 “경쟁교육 한계 직시해야...올해 ‘협력교육’ 실현할 것”

입력 2025-01-22 14: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5 서울교육 신년인사회’ 열려...이주호 등 참석

▲정근식 서울특별시 교육감이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에서 열린 ‘2025 신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정근식 서울특별시 교육감이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에서 열린 ‘2025 신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배타적이고 과도한 경쟁교육의 한계를 직시하고 경쟁과 협력의 새로운 균형을 찾아야 할 때”라며 “올해를 미래를 여는 창의와 공감의 협력교육을 실현하는 원년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정 교육감은 22일 오후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2025년 서울교육 신년인사회’에서 인사말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정 교육감은 “서울교육 앞에는 많은 도전과제들이 놓여 있다”면서 “기초학력 보장과 교육 양극화 해소는 서울교육공동체가 함께 치열하게 노력했음에도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령인구의 감소, 불안정한 교육재정, 인공지능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우려, 기후 및 생태환경의 위기는 더 나은 서울교육을 위해 반드시 넘어서야 할 도전 과제”라고 강조했다.

정 교육감은 “학생들이 미래 역량을 함양해 나갈 수 있는 협력교육을 실현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기초학력 보장과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해 서울지역 학습진단성장센터를 운영해 심층진단과 맞춤형 지원이 가능한 협력적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수학과학융합교육센터(가칭)을 통한 학생들의 사고력·창의력 성장 △농촌유학 등 지속적 생태체험교육 기회 확대 △풍부한 역사자료를 기반으로 한 미래지향적 역사교육 △고교학점제 안착 등을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정 교육감은 ‘자치가 있는 학교를 위한 협력교육’을 위해서는 “학교자치협의회(가칭)를 통해 학교 구성원들이 서로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고 지역사회와 더 긴밀히 협력해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를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정 교육감은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서울교육+플러스’를 통해 학부모와 시민, 교사, 지역사회와 서울교육 발전을 위한 소통과 협력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해 협력교육의 기반을 튼튼히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신년인사회는 서울교육청이 주최·주관한 것으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국회의원 및 서울시의원 등 교육계 인사 500여 명이 참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즉생' 발언 후 첫 주총 삼성전자, 고강도 쇄신 나선다
  • 후폭풍 '미미'→재지정…열흘 만에 180도 바뀐 서울시…"시장 혼란만 증폭"[3·19 안정화 방안]
  • 리얼 허거덩거덩스·햄부기햄북…성인 80% "신조어로 세대 간 소통 불편" [데이터클립]
  • "약속을 잘 지키는 생선이 있다"…'조기'를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김수현 소속사 반박에…김새론 측 "미성년 시절 입증 사진 포렌식"
  • "3년도 안 돼 문 닫는다"…빚만 1억, 소상공인 '눈물의 폐업'
  • “선예매도 ‘등급’이 있어요” 프로야구 티켓 논란…최상위는 암표? [해시태그]
  • "사직서 내러 뛰어가나?"…'언슬전', 싸늘한 안방극장 시선 돌릴까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3.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164,000
    • +3.07%
    • 이더리움
    • 2,992,000
    • +7.82%
    • 비트코인 캐시
    • 497,100
    • +1.55%
    • 리플
    • 3,708
    • +12.02%
    • 솔라나
    • 193,000
    • +5.75%
    • 에이다
    • 1,077
    • +5.9%
    • 이오스
    • 832
    • +14.44%
    • 트론
    • 337
    • +2.12%
    • 스텔라루멘
    • 426
    • +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000
    • +3.39%
    • 체인링크
    • 21,310
    • +5.97%
    • 샌드박스
    • 431
    • +5.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