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새해 20일 만에 재개발에서 1.7조 규모 수주…"정비사업 강자 자리 되찾는다"

입력 2025-01-20 19: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허윤홍 GS건설 대표가 지난 해 서울 강남구 대치동 자이갤러리에서 열린 '자이 리이그나이트'(Xi Re-ignite)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GS건설)
▲허윤홍 GS건설 대표가 지난 해 서울 강남구 대치동 자이갤러리에서 열린 '자이 리이그나이트'(Xi Re-ignite)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GS건설)

새해 첫 달 20여일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GS건설은 부산과 서울 등에서 잇따라 도시정비사업에서 수주고를 올리고 있다. 수주 규모만 1조7000억 원에 육박한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GS건설은 6498억 원 규모의 서울 중랑구 중화5구역 공공재개발 정비 사업 시공사로 선정됐다고 공시했다.

이 사업은 중랑구 중화동 122번지 일대에 지하 4층∼지상 최고 35층, 14개 동, 1610가구 규모로 아파트와 부대 복리시설을 짓는 공사다.

GS건설은 이에 앞서 이날 6374억 원 규모의 부산 수영1구역 재개발 정비사업도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 공사는 수영구 수영동 484-1번지 일대에 지하 3층∼지상 최고 42층, 8개 동, 1533가구 규모의 아파트와 부대 시설을 건설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지난 10일에는 대구 수성구 만촌동에서 3929억 원 규모의 재개발 공사를 수주했다. 이들 3건을 합하면 새해 첫 달에만 총 1조6801억 원의 수주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도시정비사업은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올해 GS건설의 실적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 해 4월에야 첫 마수걸이 수주에 성공했던 것과 비교해 GS건설은 올해 도시정비사업 수주 경쟁에서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GS건설은 도시정비시장에서 2021년 5조1437억 원, 2022년 7조1476억 원으로 2년 연속 2위를 차지했다가 순위가 크게 하락했다. 2023년 사고 여파로 크게 흔들렸다.

하지만 지난 해 수주 반등에 성공하며 도시정비 사업에서 2년 만에 3조1000억 원을 돌파하는 성적을 내며 업계 4위로 복귀했다.

허윤홍 GS건설 사장은 지난 해 11월 ‘자이’ 브랜드를 리뉴얼 하며 브랜드 신뢰 회복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와 함께 사업본부를 개편하면서 건축·주택사업본부를 중심 사업 본부 중 하나로 만들었다.

올해도 1조7000억 원 규모의 서울 송파구 잠실동 잠실우성아파트 1·2·3차 재건축 등 매머드급 사업 수주를 위한 수주전을 준비하는 등 채비를 갖추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로야구 역대 최다기록 모음집…연승과 연패, 그리고 천적 [그래픽 스토리]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수업참여율 26% 저조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수업참여율 26% 저조
  • 다음 주 尹 법정 모습 공개된다…법원, 공판 촬영 허가
  • 감사원 “文 정부, 통계청·부동산원 압박해 수치 수정·왜곡 지시”
  • 트럼프 ‘관세 협상’ 깜짝 등판…일본 첫 단추부터 ‘주도권’ 뺏겨
  • “대중교통 이용도 쉽지 않으니까요”…‘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이용하려면 [경제한줌]
  • [세계의 창] 푸틴, 해군 핵무기 현대화 완료 선언...전문가 의견은
  • 오늘의 상승종목

  • 04.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464,000
    • -0.42%
    • 이더리움
    • 2,295,000
    • -0.69%
    • 비트코인 캐시
    • 481,300
    • +3.17%
    • 리플
    • 3,015
    • -0.99%
    • 솔라나
    • 192,200
    • +3.39%
    • 에이다
    • 898
    • +1.13%
    • 이오스
    • 887
    • -2.85%
    • 트론
    • 360
    • -2.7%
    • 스텔라루멘
    • 347
    • +0.8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040
    • -1.6%
    • 체인링크
    • 18,030
    • +0.22%
    • 샌드박스
    • 356
    • -1.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