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증권 “아모레퍼시픽, 2025년 점진적인 개선 기대”

입력 2025-01-10 08: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15만 원 하향 조정

현대차증권은 아모레퍼시픽의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457억 원, 영업이익은 801억 원으로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다만 벨류에이션 산정 시점 변경 및 올해 실적 추정치 조정에 따라 목표주가는 18만 원에서 15만 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11만7800원이다.

하희지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4분기 국내) 화장품 부문 면세 채널의 B2B향 물량 축소 영향으로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30% 감소한 매출액 5411억 원, 영업이익 415억 원으로 전망된다”면서 “전통 채널(백화점, 방문판매)은 소폭 감소 전망하나, 온라인 채널 중심의 성장 지속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했다.

하 연구원은 “(중국)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1% 감소, 영업손실 180억 원이 예상된다”면서 “지난해 2분기 사업구조 개선을 위한 온오프라인 채널 효율화 작업이 지속되는 중”이라고 했다. 이어 “구조 개편 마무리 단계로 대부분 일회성 비용이 축소됨에 따라 올해 2분기에는 중국 턴어라운드가 기대된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서구권 시장의 경우 코스알엑스(COSRX)를 제외한 미국, 유럽에서의 라네즈 호실적으로 전년동기대비 미국 시장은 21%, 유럽은 40% 성장이 기대된다. 하 연구원은 “미국과 유럽에서 기존 립제품에 더해 스킨케어 신제품 호조에 따라 향후 추가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했다.

코스알엑스의 경우 하 연구원은 하 연구원은 “매출액 1520억 원, 영업이익 450억 원이 전망된다”면서 “아세안 시장 경쟁이 심화되고 북미 가격 경쟁 심화 및 리테일 재고 소진 영향으로 지난해 하반기 외형 성장률 둔화는 아쉽지만 올해 가격 및 채널 정비 후 성장성이 기대된다”고 했다.

하 연구원은 “밸류에이션 산정 시점 변경 및 2025년 실적 추정치 조정에 따라 목표주가를 15만 원으로 하향 조정한다”면서도 “2025년 중국 구조개편 후 턴어라운드, 코스알엑스 채널 및 지역 확대, 라네즈 중심의 고성장 지속 가시화 확인된다면 추가적 모멘텀 시현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것만 알면 '코잘알'…메타마스크서 자유자재로 입출금하기 [코인가이드]
  • 韓권한대행, 직무 복귀...통상전쟁·마은혁 임명 등 과제 산적
  • "좋은 캐디는 좋은 스윙과 같다"…타이거 우즈, 세계 1위 뒤엔 그가 있었다 [골프더보기]
  • 출렁다리·전망대로는 부족했나…지자체, 이번엔 ‘케이블카’ 경쟁 [이슈크래커]
  • 이재명 “한 총리 탄핵할 정돈 아니란 판결, 국민이 납득하겠나”
  • 뉴진스, 법원 결정 준수해 활동 잠정 중단 결정…어도어 “만나서 논의 희망한다”
  • 키키, 정식 데뷔 D-day…'아이 두 미'와 정반대 매력 어떨까
  • "원하는 사람만 새 실손 전환"…보험계약 재매입 실효성 논란
  • 오늘의 상승종목

  • 03.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080,000
    • +2.76%
    • 이더리움
    • 3,067,000
    • +3.54%
    • 비트코인 캐시
    • 490,000
    • +2.51%
    • 리플
    • 3,615
    • +1.52%
    • 솔라나
    • 207,500
    • +6.03%
    • 에이다
    • 1,077
    • +2.96%
    • 이오스
    • 842
    • -0.24%
    • 트론
    • 337
    • -2.03%
    • 스텔라루멘
    • 426
    • +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700
    • +2.58%
    • 체인링크
    • 22,260
    • +4.61%
    • 샌드박스
    • 442
    • +5.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