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실 풍경] ‘호모 사피엔스‘의 태생적 한계

입력 2024-10-29 19: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데이비드 스타 조던이라는 미국의 저명한 분류학자가 있었다. 스탠퍼드대 초대 학장을 지낸 그는 평생토록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수많은 어류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또한, 은퇴 후에 우생학을 보급하는 데 열정을 바쳤다.

과학 전문기자인 룰루 밀러는, 그의 일생에 흥미를 갖고, 전기를 쓰는 작업에 몰입하였다. 책의 서두에선, 강박적일 정도로 자연 탐구에 열정을 보이던 한 소년의 성장기를 다루던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중반부터는 학문적 업적에 대한 의문과 인격적 결함을 폭로하면서, 책의 내용은 놀라운 반전을 향해 나아간다.

결국 책 후반부에, 저자는 조던이 평생을 바쳤던 두 가지 학문에 대해 철저하게 비판하며, 독자에게 사고의 전환을 가져오게 한다. 먼저 ‘어류분류학’에 대해 비판한다. 분류라는 개념은 매우 인위적이며, 실제 자연은 명확히 경계가 나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우생학’에 대해 심한 비난을 가한다. 그가 생물을 분류하면서, 종의 우열이라는 잘못된 믿음을 설파했다고 지적한다. 룰루 밀러의 책이 발간 된 후, 스탠퍼드대는 ‘조던’의 이름이 붙은 건물의 이름을 지우는 조치를 했다고 한다.

저자의 비판은 논리적으로 매우 타당하다. 분류학은 인위적인 것이다. 생물의 진화는 연속적이지 불연속적인 것이 아니다. 종의 분류는 항상 경계종이 발견될 때마다 혼란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두 번째로 ‘우생학’은 종에 우열을 구분하는 것인데, 이것은 어떠한 과학적 근거도 없다. 우울증이 그렇다. 진화사적으로 보더라도, 힘겨루기에 패한 어떤 선조가, 동굴에 숨어 회복될 때까지 지내는 것이 생존에 더 유리한 적응이었을 것이다. 조현병은 또 어떠한가. 선사 시대에는 신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샤먼이 부족을 이끌었던 제사장 계급이었다.

하지만, 저자 또한 조던을 공격하면서, 자신의 ‘가치관-다양성 인정’을 스스로 부정하고 있다는 아쉬움이 든다. 저자는 자신이 양성애자인 것이 자연이 다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변호하면서도, 조던에 대해서는 존재해서는 안 될 악으로 규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아기 게에게 똑바로 걸으라고 꾸짖으면서 본인은 옆으로 걷고 있는 것을 모르는 엄마 게’의 우화가 생각난다. 이것이 우리 ‘호모 사피엔스’의 태생적 한계이리라. 저자도 그렇고 나 또한 그럴 것이다. 최영훈 일산연세마음상담의원 원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367,000
    • +0.29%
    • 이더리움
    • 3,567,000
    • +2.5%
    • 비트코인 캐시
    • 689,500
    • +1.4%
    • 리플
    • 3,185
    • +2.21%
    • 솔라나
    • 208,100
    • +1.61%
    • 에이다
    • 815
    • +3.3%
    • 트론
    • 392
    • -0.25%
    • 스텔라루멘
    • 364
    • +5.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3,850
    • +0.59%
    • 체인링크
    • 19,250
    • +6.18%
    • 샌드박스
    • 358
    • +8.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