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중심의 아파트" 광주 운암 벽산 블루밍

입력 2009-06-17 17: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근 아파트 시장에 ‘인간 중심의 설계’ 바람이 불고 있다. 편리성을 높이고 개방성을 극대화하는 소비자 중심의 설계가 대세로 자리잡은 것. 이에 앞서 벽산건설은 소비자 우선의 아파트를 제공하고 있다.

벽산건설은 지난 2005년 3월 벽산아파트의 브랜드 ‘블루밍’을 도입하고 아파트 건설에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해 편리성을 최대한 강조한 맞춤설계 '셀프 디자인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이후 아파트 분양단지의 모델하우스를 통해 구체적인 적용사례가 알려지면서 분양단지의 계약률 및 입주율이 높아지는 등 소비자들로부터 호응뿐만 아니라 업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실제 천안 청당동, 인천 도림지구, 원주 개운동·반곡동과 광주 운암동 메가씨티, 함안 광려천 등의 블루밍 분양 때 셀프디자인 프로젝트를 도입해 높은 계약과 및 입주율을 보였다.

광주시 북구 운암동 운암2단지를 재건축해 지난해 8월 입주를 시작한 운암 메가시티는 총 3개 단지에 지상 16~26개 층, 24개 동으로 구성돼 있고 82㎡~184형, 2753세대가 들어선 초대형 단지로 20층이 넘는 고층에 지역내 최대 단지이며 ‘설계의 마술’로 '편리성과 개방성‘ 극대화를 실시 한 '소비자 중심’의 아파트로 평가받는다.

벽산블루밍 운암 메가시티는 가변형 벽체는 물론이고 온돌마루·인테리어마감재·주방가구 색상, 안방 창문높낮이, 부부욕실 드레스룸 등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셀프 디자인 프로젝트’아이템이 도입 됐다.

또한, 일반아파트에서 보기 힘든 타워형과 판상형 조합의 세련된 외관과 단지전체를 데크 구조로 설계해 개방감과 입주민의 편의를 극대화 했다.

또 운암메가시티는 단지전체를 지상에서 6m높이까지 데크를 설치해 사실상 1,2층을 없애 저층부 주민들의 사생활을 보장하고 높은 전망감과 개방감을 느낄 수 있게 만들었다.

데크층 지상에는 남녀노소 누구나 건강한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테마 정원과 숲, 다양한 수경시설, 산책로 등을 구성하여 공원 같은 단지환경을 조성하고 지하 데크 공간은 주민을 위한 커뮤니티 시설로 활용하게 설계됐다.

1~3단지의 3300여㎡ 데크 공간에는 건강관리를 위한 휘트니스 시설, 골프연습장, 코인세탁실, 독서실, Silver Room, 어린이를 위한 Kid Zone에 볼풀장, 미끄럼틀 등을 갖췄다.

더욱이 지하주차장의 자연채광을 통해 더 밝고 쾌적할 뿐만 아니라 관리비도 절약된다. 이밖에도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초고속 인터넷망 등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

운암메가시티 입주지원센터 관계자는 “현재 광주지역의 타사들은 분양율 및 입주율이 낮아 할인분양/ 전세전환 등 각종 마케팅을 하고 있으나, 벽산블루밍 운암메가시티는 입주초기부터 지속적으로 매매시세 및 전세시세가 올라가고 있으며, 현재 아파트 입주율은 87%로 광주지역내에서 최단 기간내에 입주율이 가장 좋은 아파트 ”라고 밝혔으며, "현재도 지속적으로 계약자의 입주절차 문의 및 매수문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앞으로도 입주율은 계속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937,000
    • +1.31%
    • 이더리움
    • 5,310,000
    • +0.08%
    • 비트코인 캐시
    • 646,500
    • +0.31%
    • 리플
    • 724
    • +0.28%
    • 솔라나
    • 229,400
    • -0.61%
    • 에이다
    • 632
    • +0.32%
    • 이오스
    • 1,137
    • +0.53%
    • 트론
    • 158
    • -0.63%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50
    • +0.41%
    • 체인링크
    • 25,070
    • -1.99%
    • 샌드박스
    • 641
    • +2.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