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규 산업 장관, 수출현장 방문단 꾸려 기업 수출 어려움 해소

입력 2023-09-26 09:12 수정 2023-09-26 09: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6일 출범해 현대차 아산공장 방문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하반기 수출 플러스 조기 전환을 위해 ‘수출 현장 방문단’을 꾸려 직접 기업들을 만나 수출 어려움을 해결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수출현장 방문단을 출범하고 방 장관이 현대차 아산공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수출 현장 방문단은 수출 정책을 총괄하는 산업부 중심으로 코트라, 무역보험공사 등 수출 지원 기관이 참여해 기업과 소통해 현장의 수출 애로를 해소한다.

‘방문단’이라는 말은 방문규 장관의 이름 앞 두 글자를 바탕으로 만들었고, 방 장관이 직접 현장으로 찾아가 수출 어려움을 듣는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방문단은 자동차 분야를 시작으로 이차전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주요 업종 기업과 수출 유망 중소·중견기업 등 전국 기업들을 찾아가 수출 애로를 해소·관리할 계획이다.

출범식에는 방 장관, 유정열 코트라 사장, 이인호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장, 전윤종 KEIT 원장 등 산업부, 수출 지원 기관 관계자들과 이동석 현대차 대표, 문성준 명화공업 대표, 정서진 화신 대표, 김치환 삼기 대표 등 자동차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출범식에선 △전기차 시범 보급, 충전기 구축 등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활용한 아세안 시장 개척 △부두 포화 문제 해소를 위한 자동차 운반선 추가 확보 △자동차 부품 기업에 대한 무역 보험 한도 우대 등 여러 지원 방안이 논의됐다.

방 장관은 “자동차 수출은 어려운 시기에도 1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해 새 수출 동력으로 성장 중”이라며 “이런 흐름을 이어 나가 수출 플러스 전환의 선봉이 되어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수출 현장 방문단’은 출범식에 이어 전기차 아이오닉6 생산 공정을 참관했다. 이 자리에서 방 장관은 “미국 IRA, EU 내연차 퇴출 등 글로벌 탄소중립 기조에 힘입어 친환경 시장은 끊임없이 성장할 것”이라며 “그 중 전기차 산업은 이차전지, 반도체 등 다양한 첨단 산업의 수요를 창출하는 핵심 산업으로, 전기차를 새 수출 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미래차 적기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자동차 분야에 앞으로 5년간 2조 원 규모의 연구개발(R&D)비를 투자해 핵심 기술을 확보할 방침이다. 또 9조1000억 원 규모의 미래차 전환 금융을 지원하고 ‘미래차 부품 특별법’ 제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방 장관은 20일 취임해 업무를 시작하면서 수출 확대, 첨단산업 초격차 확대, 원전 생태계 복원을 3대 핵심 정책 방향으로 제시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정후, 양키스냐 자이언츠냐…MLB 향한 한국 선수들의 도전 [이슈크래커]
  • Z세대가 원하는 회식은?…딱 1시간만! [그래픽뉴스]
  • 연말은 와인?…찬바람과 함께 홀짝이는 막걸리의 맛 [맛보니]
  • 서울 빈대 44%는 고시원서 나왔다…'집중관리'
  • 대상 트로피에 이름 새겼다?…‘기안84’, 이번에도 대박 [요즘, 이거]
  • 이강인의 PSG, 구단 역사상 첫 ‘한글 유니폼’…음바페도 입는다
  • ‘남산의 부장들’→‘서울의 봄’→‘화려한 휴가’…영화로 보는 근현대사 [이슈크래커]
  • 외국인은 왜 삼전 사들일까?
  • 오늘의 상승종목

  • 12.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52,950,000
    • +1.03%
    • 이더리움
    • 2,900,000
    • +1.29%
    • 비트코인 캐시
    • 303,800
    • +0.4%
    • 리플
    • 832
    • +1.09%
    • 솔라나
    • 84,150
    • +0.72%
    • 에이다
    • 524
    • +0%
    • 이오스
    • 932
    • +0.11%
    • 트론
    • 139
    • +1.46%
    • 스텔라루멘
    • 162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400
    • +1.24%
    • 체인링크
    • 21,170
    • -1.49%
    • 샌드박스
    • 570
    • -0.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