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 대폭 줄었다”…실거주 의무에 효과는 ‘글쎄’

입력 2023-04-04 14: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매제한 제한기간 개선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전매제한 제한기간 개선 (자료제공=국토교통부)

7일부터 수도권에서 분양권 전매행위 제한 기간이 최대 3년으로 단축된다. 비수도권의 경우에는 최대 1년으로 줄어든다. 다만 여전히 수도권 지역 분양가 상한제 대상 주택에서 실거주 의무기간은 여전히 적용되는 만큼 시장에서 곧바로 효과를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교통부는 4일 국무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주택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이 의결돼 7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번 시행령 개정에 따라 수도권의 아파트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이 기존 최대 10년에서 공공택지・규제지역은 3년, 과밀억제권역은 1년, 그 외 지역은 6개월로 완화된다. 비수도권에서는 최대 4년에서 공공택지・규제지역은 1년, 광역시 도시지역은 6개월로 완화하고, 그 외 지역은 전면 폐지한다.

전매제한 기간 완화는 개정안 공포·시행 이전에 공급된 주택에 대해서도 소급 적용된다. 예를 들어 지난해 12월 분양한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은 이번 시행령 적용에 따라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이 기존 8년에서 1년으로 줄어든다.

다만 시장에서는 전매제한 완화만으로는 실효성이 없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매제한 완화와 더불어 패키지 정책으로 불리는 실거주 의무가 여전히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등 분양가 상한제 적용대상 지역에서는 2~5년의 실거주 의무기간을 적용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1·3대책 발표 당시 실거주 의무를 폐지하겠다고 했지만, 해당 법안은 현재 국회에 계류된 상황이다.

실거주 의무가 여전히 유지되면서 올림픽파크포레온 역시 이번에 전매제한 기간이 완화됐음에도 불구하고 실거주 요건도 충족해야 거래할 수 있다. 원래 이번 전매제한 완화에 따라 올해 12월부터는 분양권을 팔 수 있었지만, 분양 당시 실거주 의무조건이 있어서 입주일 이후 2년간 거주해야만 한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이번에 전매제한 기간이 완화되면서 입지나 여건이 좋은 곳을 중심으로 분양권 거래가 활성화될 것”이라면서도 “시장 연착륙을 유도 및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을 위해 실거주 의무까지 해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도권 분양가 상한제 적용 주택의 실거주 의무 폐지를 위해 빠른 시일 내 국회와 적극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맥도날드서 ‘고치돈’ 맛이?⋯익숙하면서 새로운 ‘익산 고구마 모짜렐라 버거’ [맛보니]
  • 김준호♥김지민, 13일 결혼…사회 이상민·축가 거미-변진섭 '하객 1200명 예상'
  • 역대급 폭염에 물가 덩달아 고공행진...올 여름 '히트플레이션' 이어지나
  • KBO 올스타전서 나눔 4연승…'미스터 올스타' 주인공은 LG 박동원
  • 삼성전자, 문화공간 '갤럭시Z폴드7∙플립7 스튜디오' 더현대 서울에 오픈
  • 사사건건 ‘법적 수단’ 동원 尹, 이번에는 구속적부심 카드 꺼낼까
  • 제1180회 로또당첨번호조회 ‘1등 11명 당첨’…당첨지역 ‘경기 3곳ㆍ경남 2곳ㆍ부산 1곳 등’
  • '살림남2' 박서진, 처량했던 무명시절⋯"의상 들고 버스타, 대기실은 화장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972,000
    • +0.59%
    • 이더리움
    • 4,005,000
    • -0.02%
    • 비트코인 캐시
    • 689,000
    • -3.97%
    • 리플
    • 3,748
    • -1.21%
    • 솔라나
    • 218,900
    • -0.91%
    • 에이다
    • 971
    • -1.52%
    • 트론
    • 411
    • +0%
    • 스텔라루멘
    • 556
    • +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240
    • +1.85%
    • 체인링크
    • 20,540
    • -1.53%
    • 샌드박스
    • 389
    • -1.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