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경남지역 업체와 '협력의 장' 마련

입력 2022-12-12 15: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교류와 협력관계로 상생 가치 실현

▲지난 7일 경남 창원 해군사관학교에서 국방기술진흥연구소 경남·창원 방산혁신클러스터 사업단이 주최하고, 대우조선해양이 후원하는 ‘방산클러스터 오픈 이노베이션’ 행사가 열렸다. (사진제공=대우조선해양)
▲지난 7일 경남 창원 해군사관학교에서 국방기술진흥연구소 경남·창원 방산혁신클러스터 사업단이 주최하고, 대우조선해양이 후원하는 ‘방산클러스터 오픈 이노베이션’ 행사가 열렸다. (사진제공=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이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와 대·중·소 기업의 동반 성장을 위해 힘쓰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7일 경남·부산지역 내 주요 방위산업 체계기업들과 함께 ‘2022 충무공 이순신방위산업전’의 주요 프로그램으로 ‘방산클러스터 오픈 이노베이션’ 행사를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방기술진흥연구소 경남·창원 방산혁신클러스터 사업단이 주최하고, 대우조선해양의 후원으로 열렸다.

행사는 지역 내 주요 방위산업 체계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과 중소·벤처기업들이 보유한 기술을 매칭시켜 기술력 있는 중소·벤처기업들이 방산 사업에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교류회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날 교류회에는 대우조선해양을 비롯해 한화시스템, 한국항공우주산업, 효성중공업, KET 등 경남·부산 지역 주요 5개 방위산업 체계기업들과 터보링크, 연암테크 등 20여 개의 중소·벤처기업들이 참가했다.

그간 중소·벤처기업은 뛰어난 기술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방산 사업에 대한 정보와 실제 어떤 기술들을 요구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이어서 방산 사업에 진입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이번 교류회에서는 각 체계기업이 진행하는 주요 방산 사업과 필요로 하는 소요 기술을 소개하고, 중소·벤처기업들과 1대1 상담하는 자리를 통해 더 내실 있는 협력의 장이 마련됐다.

정우성 대우조선해양 특수선본부장 전무는 "이번 행사를 통해 지역 내 방위산업 체계기업들과 중소·벤처기업 간 폭넓은 교류와 긴밀한 협력관계가 구축되기를 바란다"며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들의 방산 사업 진출을 활성화하고 군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개발을 촉진함으로써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와 대·중·소 기업의 동반 성장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인 시황 어디서 봐?"…'애그리게이터'만 알면 한눈에 파악한다 [코인가이드]
  • ‘법정관리’ 엑시트 옵션 불과…제2, 제3의 홈플 나온다 [사모펀드의 늪]
  • 올봄 한국인 여행객이 사랑한 인기 여행지는 또 '일본' [데이터클립]
  • 역린 건드린 KIA 홍종표…야유보다 무서운 無응원 [해시태그]
  • "골프는 원래 정장 입고 하는 스포츠?" [골프더보기]
  • 에너지 취약계층이라면…산업부 ‘에너지효율 개선사업’ 신청해볼까 [경제한줌]
  • BTS가 불 붙이고, 제니가 방점 찍었다?…'콘서트 가격 논란'의 본질 [이슈크래커]
  • 故 김새론 측 "김수현 소속사, 2차 증명서까지 보내…SNS 사진 게재까지 막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3.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62,000
    • -0.58%
    • 이더리움
    • 2,814,000
    • +0.07%
    • 비트코인 캐시
    • 492,200
    • +0.8%
    • 리플
    • 3,436
    • +0.44%
    • 솔라나
    • 186,900
    • -2.1%
    • 에이다
    • 1,056
    • +1.44%
    • 이오스
    • 721
    • +1.41%
    • 트론
    • 320
    • +0.95%
    • 스텔라루멘
    • 400
    • +1.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720
    • -1.15%
    • 체인링크
    • 20,140
    • +0.1%
    • 샌드박스
    • 418
    • +1.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