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장마감] 코스닥 727.54p, 상승(▲9.64p, +1.34%)마감. 외국인 +1151억, 기관 +530억, 개인 -1669억

입력 2022-11-29 15: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하락 출발했던 코스닥시장이 외국인과 기관의 ‘사자’ 기조에 장 종반 상승세로 전환 마감했다.

29일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9.64포인트(+1.34%) 상승한 727.54포인트로 마감했다.

투자자 별 동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를 보였으며, 개인은 홀로 매도했다.

외국인은 1151억 원을, 기관은 530억 원을 각각 순매수 했으며 개인만 1669억 원을 순매도했다.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사업서비스(+1.43%) 업종의 상승이 눈에 띄었으며, 교육서비스(+1.39%) 기타서비스(+1.37%) 등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광업(-3.70%) 등의 업종은 하락했다.

이외에도 유통(+1.28%) 제조(+1.16%) 숙박·음식(+1.09%) 등의 업종이 동반 상승했으며, 전기·가스·수도(-0.52%) 등의 업종은 하락했다.

주요 테마 현황을 살펴보면 타이어(+4.16%), 여행·관광(+3.97%), 엔터테인먼트(+3.00%), 헬스케어(+2.57%), 카지노(+2.48%) 관련주 테마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NFC(-0.34%), 금(-0.31%), IT(-0.01%), LED(-0.01%) 관련주 테마는 상대적으로 내림세로 마쳤다.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6개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에코프로가 3.92% 오른 13만5300원에 마감했으며, 에스엠(+3.61%), 오스템임플란트(+3.38%)가 상승한 반면 HLB(-2.11%), 리노공업(-0.47%), 더블유씨피(-0.19%)는 하락 마감했다.

그 밖에도 연우(+24.53%), 기산텔레콤(+24.38%), 셀루메드(+19.77%) 등의 종목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테고사이언스(-16.96%), 케어랩스(-13.73%), 하인크코리아(-11.62%) 등은 하락했다. 대창솔루션(+29.94%), 삼천당제약(+29.88%)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1074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362개다. 111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3 프로야구 개막…떠나간 팬들 돌아올까?
  • “장롱 속 ‘돌반지’로 대출 이자 내볼까”…금 팔이 나선 사람들
  • 대규모 해고로 빅테크 쑥대밭인데…애플 ‘팀 쿡’ 리더십이 주목받는 이유
  • "한국 영상 보면 사형" 정부, 북한 인권보고서 첫 공개
  • 비은행권 지급결제 허용 놓고 업계 "소비자 편익 증진" vs 한은 "디지털 런 위험 증대"
  • 아이유 향한 팬심 드러낸 박서준 “‘드림’ 끝나고 아쉬울 정도”
  • '드림'으로 뭉친 박서준X아이유…웃음·감동·힐링 종합선물세트 [영상]
  • 5·18 재단 “전두환 굴레 쓴 손자, 안쓰럽다...전우원씨 증언 확인할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3.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7,272,000
    • -0.17%
    • 이더리움
    • 2,378,000
    • +0.72%
    • 비트코인 캐시
    • 160,000
    • -1.3%
    • 리플
    • 717.1
    • +1.29%
    • 솔라나
    • 27,220
    • -1.73%
    • 에이다
    • 500.2
    • -0.75%
    • 이오스
    • 1,580
    • +4.64%
    • 트론
    • 85.82
    • +1.38%
    • 스텔라루멘
    • 139.8
    • +4.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070
    • -1.42%
    • 체인링크
    • 9,595
    • -1.24%
    • 샌드박스
    • 817.5
    • -2.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