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북한 IRBM, 국제사회 대응 직면”…안보실장 주재 NSC "중간에 참석"

입력 2022-10-04 09: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4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4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4일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1발을 발사한 데 대해 “국제사회의 결연한 대응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청사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또 4000킬로미터 중장거리 미사일을 일본 열도 위로 발사했다”며 “국군의 날에 밝혔지만 이런 무모한 도발은 우리 군을 비롯한 동맹국과 국제사회의 결연한 대응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9시부터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NSC(국가안전보장회의)를 개최하고, 저는 중간에 참석한다”며 직접 NSC를 주재할 예정이라 밝혔다. 일본 정부도 북한의 IRBM에 대해 규탄하며 NSC를 소집했다.

북한의 이번 IRBM 발사는 지난 1월 30일 이후 8개월 만이다. 올해 들어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을 여러 차례 쏘아 올리다 도발 수위를 높인 것이다. IRBM은 미국 분류상 사거리 3000~5500킬로미터 탄도미사일로, 사거리가 5500킬로미터 이상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바로 아랫단계다.

이날 발사된 IRBM은 최근 열흘 중 다섯 번째 미사일로, 이틀에 한 번꼴인 셈이다. 지난달 25일 평안북도 태천 일대에서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1발, 28일 평양 순안 일대에서 2발, 29일 평안남도 순천 일대에서 2발, 지난 1일 평양 순안 일대에서 2발 등이 동해상으로 쏘아 올려졌다.

북한은 올해 들어서만 탄도미사일을 21차례, 순항미사일을 두 차례 발사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로는 이날 기준 아홉 번째 탄도미사일 발사다.

북한의 도발에 맞서 한미일은 합동훈련을 벌인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일본 자위대가 독도까지 진입하며 진행하는 대규모 훈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정상속분 ‘유류분’ 47년만에 손질 불가피…헌재, 입법 개선 명령
  • 2024 호텔 망고빙수 가격 총 정리 [그래픽 스토리]
  • "뉴진스 멤버들 전화해 20분간 울었다"…민희진 기자회견, 억울함 호소
  • "아일릿, 뉴진스 '이미지' 베꼈다?"…민희진 이례적 주장, 업계 판단 어떨까 [이슈크래커]
  • “안갯속 경기 전망에도 투자의 정도(正道)는 있다”…이투데이 ‘2024 프리미엄 투자 세미나’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8000원에 입장했더니 1500만 원 혜택"…프로야구 기념구 이모저모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436,000
    • -1.31%
    • 이더리움
    • 4,556,000
    • -0.74%
    • 비트코인 캐시
    • 688,500
    • -1.36%
    • 리플
    • 757
    • -0.79%
    • 솔라나
    • 213,500
    • -2.91%
    • 에이다
    • 684
    • -1.16%
    • 이오스
    • 1,248
    • +3.23%
    • 트론
    • 169
    • +3.05%
    • 스텔라루멘
    • 164
    • -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550
    • -3.45%
    • 체인링크
    • 21,250
    • -0.28%
    • 샌드박스
    • 668
    • -2.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