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테크 시대] 삼성전자, 미래 신사업 중심 매출 8% 연구개발 투자

입력 2022-09-26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GAA 기술을 적용한 3나노 파운드리 공정 기반의 초도 양산을 시작했다. 임직원들이 6월 화성캠퍼스에서 3나노 웨이퍼를 보여주고 있다.  (사진제공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GAA 기술을 적용한 3나노 파운드리 공정 기반의 초도 양산을 시작했다. 임직원들이 6월 화성캠퍼스에서 3나노 웨이퍼를 보여주고 있다. (사진제공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반도체, 인공지능(AI)과 차세대통신 등 미래 신사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R&D)에 매진할 계획이다.

삼성은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을 주도해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반기술인 반도체 산업에서 한국 반도체가 한국 경제의 성장판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미도 있다.

삼성전자는 공정 미세화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소재·신구조에 대한 R&D를 강화하는 등 지난 30년간 선도해 온 메모리 기술에서 초격차 위상을 공고히 다진다. 삼성전자는 2021년 10월 극자외선(EUV) 공정을 적용한 14nm D램 양산을 발표하며 앞선 기술력을 확인시켰다.

삼성전자는 또 고성능·저전력AP, 5G·6G 통신모뎀 등 초고속통신 반도체, 고화질 이미지센서 등 4차 산업혁명 구현에 필수불가결한 팹리스(반도체 설계) 시스템반도체 및 센서 중심으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AI 글로벌 연구개발 역량 확보와 기반 생태계 구축 지원에 힘쓰고 있다. 전 세계 7개 지역의 글로벌 AI 센터를 통해 선행 기술연구에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는 기존 3G·4G·5G 통신을 선도해온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차세대통신(6G) 분야에서 R&D 리더십도 강화해 나가고 있다. 6G 핵심 기술 선점 및 글로벌 표준화를 통해 통신 분야에서 초격차를 추진할 방침이다.

삼성전자 DX부문은 사업간 경계를 뛰어넘는 통합 시너지를 확대해 고격 경험을 혁신하고, 미래 신성장 동력을 발굴 육성하는데 R&D 역량을 집중해 나갈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22조5965억 원의 연구개발 비용을 집행했으며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8.1%에 이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신입구직자 희망 초봉은 ‘평균 3944만원’
  • 독도는 일본 땅?…日 억지 주장, 언제부터 시작됐나
  • '디즈니'도 손절?…AI에 밀린 메타버스 운명은
  • ‘아이언맨’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씹던 껌, 경매로 나왔다…가격은
  • 한덕수 "양곡관리법 개정안 재의 요구, 대통령께 공식 건의"
  • 원전 르네상스 도래…신한울 3, 4호기 2.9조 원 계약·해외 기자재 5조 원 목표
  • 동서울터미널에 스타필드 들어설까?···서울시, TF 구성하고 개발 속도전
  • 박동원에 ‘FA 뒷돈 요구 논란’…기아 타이거즈, 장정석 단장 해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3.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7,503,000
    • +4.23%
    • 이더리움
    • 2,385,000
    • +1.75%
    • 비트코인 캐시
    • 163,600
    • +2.06%
    • 리플
    • 721.3
    • +5.05%
    • 솔라나
    • 27,940
    • +3.02%
    • 에이다
    • 507.6
    • +6.59%
    • 이오스
    • 1,515
    • +3.41%
    • 트론
    • 84.99
    • +0.51%
    • 스텔라루멘
    • 134.6
    • +4.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910
    • +2.22%
    • 체인링크
    • 9,740
    • +5.58%
    • 샌드박스
    • 848.7
    • +4.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