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북 탄도미사일 발사 규탄...실질적 대화 촉구”

입력 2022-03-05 14: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북한은 지난달 27일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시험을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다음날인 28일 보도했다. 통신은 "국가우주개발국과 국방과학원이 정찰위성에 장착할 촬영기들로 지상 특정지역에 대한 수직 및 경사 촬영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사진은 해당 촬영기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한반도 모습. (연합뉴스)
▲북한은 지난달 27일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시험을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다음날인 28일 보도했다. 통신은 "국가우주개발국과 국방과학원이 정찰위성에 장착할 촬영기들로 지상 특정지역에 대한 수직 및 경사 촬영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사진은 해당 촬영기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한반도 모습. (연합뉴스)

미국은 4일(현지시간) 북한이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한 것에 대해 규탄하며 도발 자제와 대화를 재차 촉구했다.

이는 북한이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중요시험을 진행했다고 추후에 밝힌 지난달 26일(한국시간)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때와 같은 반응이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올해 들어 9번으로, 미국은 그때마다 도발 자제와 외교적 해법을 촉구하는 원칙론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내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 국무부 대변인은 “미국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한다”며 북한의 발사체를 탄도미사일이라고 규정했다.

대변인은 “이번 발사는 올해 초 다른 발사처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다수 결의에 대한 분명한 위반”이라며 “북한의 불법적 대량파괴무기(WMD)와 미사일 프로그램이 북한의 주변국과 지역 전체에 제기한 위협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준수하고 추가 도발을 자제하며,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대화에 관여하길 촉구한다”고 말했다.

주한미군을 관할하는 미 인도태평양사령부도 성명을 내고 “우리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인지하고 있다”며 “한국, 일본은 물론 역내 다른 동맹 및 파트너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태평양사령부는 “미국은 이번 발사를 규탄하고 북한이 추가로 불안을 조성하는 행위를 자제하길 촉구한다”고 말했다.

또 “이번 발사는 미국 또는 동맹국의 장병, 영토에 대한 즉각적 위협은 아닌 것으로 평가한다”며 “우리는 상황을 계속 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200,000
    • +1.46%
    • 이더리움
    • 5,314,000
    • +0.02%
    • 비트코인 캐시
    • 648,500
    • +0.23%
    • 리플
    • 725
    • +0%
    • 솔라나
    • 230,600
    • -0.39%
    • 에이다
    • 633
    • +0%
    • 이오스
    • 1,142
    • +0.62%
    • 트론
    • 158
    • -1.25%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300
    • +0.35%
    • 체인링크
    • 25,190
    • -1.72%
    • 샌드박스
    • 645
    • +2.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