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지주사 체제 전환 속도…“미래 신사업 발굴 통해 지역사회 기여할 것”

입력 2022-02-16 13: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는 3월 지주회사 ‘포스코홀딩스’ 출범
김학동 부회장 “철강ㆍ신사업 간 균형 성장 이룰것”
사업회사 포스코 본사 포항 유지해 지역사회 기여
이차전지소재 등 신사업장에 포항ㆍ광양 최우선

▲포스코센터 전경 (사진제공=포스코)
▲포스코센터 전경 (사진제공=포스코)

포스코그룹이 미래 신사업 발굴과 사업ㆍ투자 관리를 전담하기 위한 지주사 체제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달 28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주주들에게 지주사 전환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물었다. 주식수 기준 75.6%의 주주가 의결권을 행사했으며 출석 주주 89.2%의 찬성률로 가결됐다.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은 “철강과 신사업 간의 균형성장을 가속화 하고 친환경 미래 소재 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 경영체제의 혁신이 절실하다는데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이에 그룹의 미래 신사업 발굴과 사업ㆍ투자 관리를 전담하는 지주사 체제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탄소 중립의 흐름을 선도하고자 포스코그룹은 철강 전담 사업회사의 책임하에 저탄소 생산기술 R&D와 생산체제 전환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지주회사 체제는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와 철강 사업회사 ‘포스코’로 나뉘게 된다.

지주회사는 △미래 신사업 발굴 △그룹 사업ㆍ투자 관리 △그룹 R&D 및 ESG 전략 수립 등을 맡는다. 철강 사업회사는 물적 분할돼 CCUS(탄소 포집 및 활용ㆍ저장기술), 수소환원제철 기술 등 친환경 생산체제로의 전환을 주도할 방침이다.

특히 사업회사 포스코는 분할 전, 회사 인력 대부분과 자산을 이전받고 본사도 포항으로 유지한다. 지주사 체제 전환을 통해 포스코는 지역생산, 세금, 고용, 투자 등 모든 측면에서 지역사회에 기여할 예정이다.

포스코는 “지주사 체제 전환으로 포스코의 2차전지 소재와 수소 등 다양한 사업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이뤄낸다면 지역 사회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분할 후에도 철강사업은 그룹의 핵심 사업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계속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포스코그룹의 신성장 사업 육성이 지역 사회에 투자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는 “미래기술연구 성과 창출로 신성장 사업을 추진할 경우 신규투자, 일자리 창출 등 포항, 광양 지역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특히 미래기술연구원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이차전지소재 및 수소와 관련된 사업장은 포항, 광양을 최우선으로 검토할 방침이다”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0:5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923,000
    • -1.02%
    • 이더리움
    • 5,229,000
    • -1.71%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46%
    • 리플
    • 727
    • -0.14%
    • 솔라나
    • 233,400
    • +0.21%
    • 에이다
    • 628
    • -1.1%
    • 이오스
    • 1,126
    • +0.36%
    • 트론
    • 156
    • +1.96%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300
    • -0.29%
    • 체인링크
    • 26,090
    • +2.47%
    • 샌드박스
    • 619
    • -0.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