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크래커] ‘억’ 소리 나는 설 선물…시대상 담긴 명절 선물 변천사

입력 2021-12-28 15: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GS25)
(사진제공=GS25)

GS25에서 판매하는 설 선물입니다. 영국의 오디오 명가인 윌슨베네시사의 ‘레졸루션 오디오세트’인데요. 가격이 얼마인지 아십니까? 1억3340만 원이나 합니다. ‘후덜덜’ 한 가격입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7300만 원짜리 캠핑카도 있고요. 구찌 등 명품 가방, 10돈 짜리 골드바도 판매합니다.

물론 1~2만 원 소독제, 3~4만 원 데일리 와인 등 가성비 상품들도 많습니다. 초고가나 초저가만 팔리는 ‘K자 소비 양극화’가 뚜렷하네요.

그렇다면 과거 사람들은 어떤 선물을 주고받았을까요?

조선시대와 1960~1970년대

설 선물의 시작은 그림입니다. 조선시대 도화서에서는 새해가 되면 임금의 만수무강을 빌고, 악귀를 쫓기 위해 불로초를 든 선동(신성의 시중을 드는 아이)을 그려 진상했는데요.

이런 관습이 민가로 전해져 정월 초하루가 되면 서로의 복을 기원하는 의미로 설 그림을 주고받았습니다.

이후 1960년대까지만 해도 선물이랄 것이 없었습니다. 경제 개발이 시작되긴했지만, 전쟁의 상처가 여전해 선물은 설탕이나 밀가루, 조미료 등 먹을 것에 집중됐습니다.

선물세트가 등장한 건 1970년대부터입니다. 산업화로 식료품보다는 화장품, 속옷, 양말 등이 매대를 채웠습니다. 특히 커피 세트는 다방문화 확산과 맞물려 그야말로 ‘대박’을 쳤습니다.

(사진제공=동원)
(사진제공=동원)

1980~2000년대 초반

1980년대부터 명절 선물 문화가 본격화되는데요.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양과 질이 모두 채워졌습니다. 스카프, 지갑, 넥타이 등이 인기를 끌었고, 참치, 햄 통조림이 처음 등장했습니다. 선물 배달이 시작된 것도 이때부터입니다.

1990년대 선물의 키워드는 개성이었는데요. 취향에 맞는 물건을 살 수 있는 상품권을 주고받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또 양극화가 시작되면서 100만 원이 넘는 양주도 많이 팔렸습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웰빙’ 바람을 타고 홍삼, 올리브유, 와인 등이 날개 돋힌 듯 팔렸습니다. 고령화 사회에 맞춰 효도폰, 가정용 의료기기도 인기가 좋았습니다.

2016년 김영란법과 2020년 이후

2016년 김영란법이 시행되면서 명절 풍경이 확 달라졌는데요. 비싼 한우와 굴비 등이 매대에서 빠지고, 과자ㆍ라면세트, 양말, 과일(소포) 등 실속을 차린 제품들이 그 자리를 메웠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역시 많은 변화를 가져왔는데요. 보상 심리가 반영되면서 위에서 언급한 명품, 자동차 등 초고가상품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실제 지난해 현대백화점에서 판매한 100만 원 이상 프리미엄급 선물세트 매출은 전년 대비 80% 넘게 증가했다고 합니다.

실속도 빼놓을 수 없죠. 필요할 때마다 제품을 조금씩 나눠 받을 수 있는 구독권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비대면 라이프 스타일은 유통 구조도 바꿔놨는데요. 설 선물을 모바일로 주고받고요. 거리 두기로 대면이 어렵다 보니 선물만 미리 보내는 사람들이 많아져 유통사들의 설 선물 기획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고빙수=10만 원…호텔 망빙 가격 또 올랐다
  • ‘눈물의 여왕’ 속 등장한 세포치료제, 고형암 환자 치료에도 희망될까
  • ‘반감기’ 하루 앞둔 비트코인, 6만3000달러 ‘껑충’…나스닥과는 디커플링 [Bit코인]
  • 이번에도 싹 쓸어버릴까?…또 천만 노리는 ‘범죄도시4’, 역대 시리즈 정리 [인포그래픽]
  • 올림픽 목표 금메달 10개→7개 →5개…뚝뚝 떨어지는 이유는 [이슈크래커]
  • 살아남아야 한다…최강야구 시즌3, 월요일 야구 부활 [요즘, 이거]
  • 단독 두산그룹, 3년 전 팔았던 알짜회사 ‘모트롤’ 재인수 추진
  • 기후동행카드, 만족하세요? [그래픽뉴스]
  • 오늘의 상승종목

  • 04.19 11:2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9,068,000
    • -2.68%
    • 이더리움
    • 4,296,000
    • -3.59%
    • 비트코인 캐시
    • 667,500
    • -4.51%
    • 리플
    • 701
    • -4.23%
    • 솔라나
    • 193,400
    • -2.08%
    • 에이다
    • 637
    • -4.21%
    • 이오스
    • 1,063
    • -2.57%
    • 트론
    • 156
    • -4.29%
    • 스텔라루멘
    • 156
    • -1.8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1,950
    • -5.16%
    • 체인링크
    • 19,120
    • -2.25%
    • 샌드박스
    • 605
    • -5.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