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부터 김포‧대구‧김해공항에서도 무착륙 국제관광비행 한다

입력 2021-04-18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추후 청주‧양양공항도 검토

▲에어서울의 해외 무착륙 비행 탑승객이 사전에 주문한 기내 면세품을 받고 있다. (사진제공=에어서울)
▲에어서울의 해외 무착륙 비행 탑승객이 사전에 주문한 기내 면세품을 받고 있다. (사진제공=에어서울)
일반 국제선처럼 출국하고 면세점 이용이 가능하지만, 타국에 착륙은 하지 않고 돌아오는 무착륙 국제관광비행이 지방공항에서도 탈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 인천국제공항에서 운항을 시작한 무착륙 국제관광비행을 김포ㆍ대구ㆍ김해 등 지방공항으로 확대한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12일 인천공항에서 무착륙 국제관광비행을 개시한 이후 올해 3월까지 7개 국적 항공사가 총 75편을 운항해 8000여 명이 이용하면서 관련 업계의 매출 증대와 고용 유지에 기여하고 있다.

무착륙 국제관광비행이 성공적으로 정착하면서 항공ㆍ면세업계 등에서 지방공항 확대 등 상품 다변화를 지속해서 요구해 왔다.

이에 국토부는 지방에서의 이용편의 제고, 국제선 운항중단 중인 지방공항 활성화를 위해 방역ㆍ출입국ㆍ세관 등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지방공항 활용 국제관광비행을 추진한다.

지방공항 국제관광비행은 방역관리, 세관‧출입국‧검역(CIQ) 심사인력, 면세점 운영여부 등을 고려해 김포ㆍ대구ㆍ김해공항에서 우선 추진하고 추후 청주‧양양공항 등은 항공사 희망수요, CIQ 인력 복귀 및 면세점 운영재개 등의 상황을 고려해 추진을 검토한다.

국제관광비행 탑승객은 일반 여행자와 같은 면세혜택을 받을 수 있고 입국 후 격리조치 및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면제받게 된다.

탑승객은 공항‧기내 등 상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고 비행 중 자리를 옮기거나 식음료를 섭취하는 행위는 제한된다.

국토부는 방역관리 및 세관심사를 위하여 관광비행편 간 출‧도착 시간을 충분히 이격해 배정하고 공항별 하루 운항편수도 3편 수준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일반 항공편과 시간대를 달리해 일반 입‧출국객과 접촉 우려가 없는 국제관광비행 전용 터미널로 운영하게 된다.

지방공항 국제관광비행은 항공사별 상품준비 및 여행객모집 등을 걸쳐 운항허가를 받아 5월 초부터 운항할 예정이다.

윤진환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지역관광과 연계한 인천‧김포 출발-지방공항 도착 노선과 같은 보다 다양한 형태의 운항을 위해 관계부처와 적극 협업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내부통제 태풍]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날씨] '낮 최고 35도' 서울 찜통더위 이어져…제주는 시간당 30㎜ 장대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482,000
    • -0.17%
    • 이더리움
    • 5,012,000
    • +2.39%
    • 비트코인 캐시
    • 545,500
    • -0.27%
    • 리플
    • 695
    • +0.72%
    • 솔라나
    • 190,500
    • -1.24%
    • 에이다
    • 540
    • +0.19%
    • 이오스
    • 799
    • +2.44%
    • 트론
    • 163
    • +0.62%
    • 스텔라루멘
    • 132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800
    • +1.31%
    • 체인링크
    • 20,150
    • +2.65%
    • 샌드박스
    • 455
    • +3.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