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참가 韓기업들 "미래 사업 자율주행차 가장 유망…LG 전시장 인상 깊어"

입력 2021-03-29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 신산업 분야 과도한 규제 때문에 혁신 어려워"

(출처=전경련)
(출처=전경련)

올해 열린 세계 최대 가전ㆍIT 전시회 'CES 2021'에 참가한 한국 기업들이 가장 혁신적인 국가로는 미국, 가장 유망한 미래산업으로는 자율주행차를 꼽았다.

CES 2021 참가 기업 중에서는 LG 전시장이 가장 인상 깊은 전시장으로 뽑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CES 2021'에 참가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주요국 대비 한국의 혁신환경 수준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응답한 80개사의 업종별 구성을 살펴보면 △헬스케어 29개사(36.3%) △IoT(사물인터넷) 12개사(15.0%) △인공지능 6개사(7.5%) △스마트시티 4개사(5.0%) △드론ㆍAR(증강현실)&VR(가상현실)ㆍ로봇 각 2개사(2.5%) 등이다.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를 묻는 말에 응답 기업(80개사) 중 82.5%가 미국을 꼽았다.

그 뒤로 한국 8.8%, 독일과 중국이 각각 2.5%, 일본과 프랑스 등이 1.3%였다.

CES 2021 참가 한국 기업들은 한국도 상당히 혁신적인 국가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한국의 혁신성을 높이 평가하는 이유로는 △‘우수한 IT 환경’(32.2%) △‘우수한 인력’(29.4%) △‘빨리빨리 문화’(17.7%) △‘기업의 과감한 R&D 투자’(11.7%) 등을 들었다.

한국의 혁신지수를 100으로 가정하고 주요국 혁신성을 점수로 평가한 결과 미국이 149.4로 가장 높았다.

이어 △독일 98.5 △중국 96.2 △영국 92.1 △일본 91.8 △캐나다 86.9 △프랑스 86.1 순이다.

중국이 예상보다 순위가 낮은 것은 이번 온라인 박람회에 미·중 무역갈등 등의 이유로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기업이 대거 불참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전경련 측은 해석했다.

업종별로 가장 혁신적인 국가를 살펴보면 미국이 대부분 업종에서 가장 혁신적으로 평가됐다.

응답 기업 비중이 높은 업종별로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헬스케어 기업은 미국(69.0%)〉한국(13.8%)=독일(13.8%)〉일본(3.4%) 순으로 혁신적인 국가로 응답했고, IoT는 미국(83.3%)〉한국(16.7%) 순으로 인공지능도 미국(83.3%)〉한국(16.7%) 순으로 혁신적인 국가로 응답했다.

업종별로 가장 혁신적인 국가와 한국의 기술격차를 보면 평균적으로 2~3년(33.8%)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업종별로 보면 △헬스케어(44.8%) △IoT(41.7%) △AI(50.0%) 등에서 2~3년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스마트시티는 1~2년(50.0%), 드론은 3년 이상(100.0%) 기술격차가 난다는 응답이 많았다.

CES2021에 참여한 한국기업은 5~10년 후 가장 주목받는 미래산업 분야를 △자율주행차(28.0%), △인공지능(25.7%) △loT(11.6%) △헬스케어(7.7%) 순으로 지목했다.

또한 CES 2021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국내외 기업 전시장으로 ‘LG’ 전시장(21.7%)을 가장 많이 꼽았다.

LG는 이번 행사에서 화면이 말리는 형태의 스마트폰인 롤러블 폰을 선보이는 등 혁신적인 제품으로 참가기업들의 눈길을 끌었다.

삼성(10.3%)도 두 번째로 인상 깊은 전시장에 꼽혔다. 포드, GM, 테슬라, 구글 등도 많은 표를 받았다.

CES2021에 참가한 한국기업들은 한국에서 혁신을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신산업분야의 과도한 규제와 불합리한 관행(28.3%) △법적ㆍ제도적 지원 부족(21.4%) △전문인력 부족(15.8%) 등을 지적했다.

혁신적인 기업환경 조성을 위한 과제로는 △인력양성(19.4%) △글로벌 기술개발 협력 지원(18.2%) △경직된 규제시스템 개선(17.1%) △기초과학 경쟁력 제고(13.2%) △R&D 정부지원 강화(12.9%) 등을 꼽았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급변하는 시장의 변화를 사업모델에 반영할 수 없게 만드는 경직된 제도, 과도한 규제가 혁신적 기업의 출현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AI, 5G 등의 기술혁신 속도가 빨라지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며 “이러한 혁신성을 저해하는 요소를 해소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망산업 위주로 정부 지원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정상속분 ‘유류분’ 47년만에 손질 불가피…헌재, 입법 개선 명령
  • 2024 호텔 망고빙수 가격 총 정리 [그래픽 스토리]
  • "뉴진스 멤버들 전화해 20분간 울었다"…민희진 기자회견, 억울함 호소
  • "아일릿, 뉴진스 '이미지' 베꼈다?"…민희진 이례적 주장, 업계 판단 어떨까 [이슈크래커]
  • “안갯속 경기 전망에도 투자의 정도(正道)는 있다”…이투데이 ‘2024 프리미엄 투자 세미나’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8000원에 입장했더니 1500만 원 혜택"…프로야구 기념구 이모저모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393,000
    • -4.17%
    • 이더리움
    • 4,490,000
    • -4.49%
    • 비트코인 캐시
    • 681,000
    • -5.68%
    • 리플
    • 746
    • -4.36%
    • 솔라나
    • 207,200
    • -8.88%
    • 에이다
    • 672
    • -5.88%
    • 이오스
    • 1,212
    • -2.81%
    • 트론
    • 167
    • +1.83%
    • 스텔라루멘
    • 161
    • -5.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600
    • -8.07%
    • 체인링크
    • 20,880
    • -5.31%
    • 샌드박스
    • 649
    • -9.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