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부유층, ‘코로나 충격’은 딴 세상…빈부 격차 확대에 정부 대응책도 ‘도마 위’

입력 2021-01-18 16: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부유층에 이처럼 순탄한 때가 없어
“국가 대응, 누구를 돕기 위해 고안됐나” 의문 제기

▲중앙은행의 지원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폭락하고 주가가 반등했다.  검은색 : 30년 미국 주택담보대출금리/빨간색 : S&P500지수. 출처 블룸버그통신
▲중앙은행의 지원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폭락하고 주가가 반등했다. 검은색 : 30년 미국 주택담보대출금리/빨간색 : S&P500지수. 출처 블룸버그통신
미국에서 빈부 격차가 갈수록 확대되는 ‘K자형’ 양극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계속되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에 따라 일각에서는 미국 정부의 대응책에 의구심을 품는 목소리도 나온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경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극심한 타격을 입었으며, 각종 소규모 사업체와 시민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기 침체 속에서 기업들이 버티지 못하고 속속 쓰러져 버리면서, 1000만여 명의 대규모 실업자들이 쏟아져 나왔다. 매일 끼니를 걱정해야 할 정도로 극심한 가난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그 3배에 가까운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러한 곤경은 적어도 상위 20%의 고소득층에게는 ‘딴 세상 이야기’였다. 미국의 일부 계층은 그 어느 때보다 윤택한 삶을 사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금융당국이 내놓은 전례 없는 긴급 조치에 부유층이 손에 쥔 보유자금은 날로 풍부해져만 갔다. 이들은 초저금리 정책 속에서 주택 융자를 차환했으며, 투자 계좌에 있는 주식과 채권의 가치는 나날이 급등했다.

차기 조 바이든 행정부는 코로나19 사태에서 미국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수조 달러 규모의 추가 부양책을 추구할 계획이지만, 경제학자들은 그보다 극심하게 확대된 미국의 빈부 격차가 일으킬 정치적·사회적 결과를 경고하고 있다. 아울러 소득 불평등이 이미 적어도 반세기 동안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한 상황에서 코로나19로 야기된 재정적 파괴에 대한 국가의 대응은 누구를 돕기 위해 고안된 조치인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K자형’ 회복의 개념을 대중화시킨 윌리엄앤드매리 대학의 피터 애드워터 교수는 “미국 부유층에게 현재처럼 순탄한 때는 없었을 것”이라며 “정책 당국자가 내놓은 많은 조치는 부유층이 팬데믹의 영향으로부터 가장 빨리 회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일릿 카피 때문" 민희진 주장 반박한 하이브 CEO…전사 이메일 돌렸다
  • 임영웅·아이유·손흥민…'억' 소리 나는 스타마케팅의 '명암' [이슈크래커]
  • 중소기업 안 가는 이유요?…"대기업과 월급 2배 차이라서" [데이터클립]
  • 법무부, ‘통장 잔고 위조’ 尹대통령 장모 가석방 보류
  • 윤보미·라도, 8년 열애 인정…"자세한 내용은 사생활 영역"
  • 단독 ‘70兆’ 잠수함 사업 가시화…캐나다 사절단, K-방산 찾았다
  • 단독 삼성전자 엄대현 법무실 부사장, 이례적 ‘원포인트’ 사장 승진
  • U-23 아시안컵 8강 윤곽…황선홍 vs 신태용 ‘운명의 대결’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447,000
    • -0.29%
    • 이더리움
    • 4,589,000
    • -1.23%
    • 비트코인 캐시
    • 732,500
    • -0.88%
    • 리플
    • 786
    • +1.55%
    • 솔라나
    • 223,100
    • +0.36%
    • 에이다
    • 745
    • +0.4%
    • 이오스
    • 1,209
    • +0.58%
    • 트론
    • 163
    • +0.62%
    • 스텔라루멘
    • 16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2,900
    • -0.68%
    • 체인링크
    • 22,090
    • -1.12%
    • 샌드박스
    • 695
    • -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