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코로나19 사망자 수, 중국 추월...확진자 4만 명 넘어

입력 2020-03-20 09: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탈리아 사망자 수 3405명으로 중국의 3245명 넘어…전체 사망자의 87%가 70세 이상 고령

▲이탈리아의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가 발원지 중국을 넘어섰다. EPA연합뉴스
▲이탈리아의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가 발원지 중국을 넘어섰다. EPA연합뉴스
이탈리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가 중국을 넘어섰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19일(현지시간) 오후 6시 기준 누적 사망자 수가 전날보다 427명 증가한 340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이날까지 중국의 누적 사망자 수 3245명을 넘어섰다.

작년 12월말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 첫 감염자가 나온 이래 누적 사망자 수가 중국을 넘은 나라는 이탈리아가 유일하다.

누적 확진자 수는 하루 새 5322명 늘어난 4만1035명으로 중국(8만907명)의 절반 수준이다. 하루 기준 신규 확진자가 5000명대를 기록한 것도 처음이다.

누적 확진자 수 대비 누적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치명률은 8.3%로, 세계에서 가장 높고 1.06%인 한국의 8배에 달한다. 이탈리아에서 사망자가 급증하는 이유로 바이러스에 취약한 노령자 감염자 비중이 높다는 점이 꼽힌다. 전체 사망자 중 87%는 70세 이상 고령자다.

또 지역 의료시스템 붕괴도 원인으로 지적된다. 바이러스가 북부 특정 지역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하며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환자가 쏟아져나왔다는 것이다. 이탈리아 북부 3개주의 누적 확진자 수가 전체의 69.6%를 차지한다. 그 외 다른 주로도 빠르게 번지는 추세다.

현재까지 누적 검사 인원은 18만2777명으로 한국(30만7024명)의 59.5% 수준이다. 이에 일부 주에서는 공격적이고 광범위한 검사를 도입해 속도를 올리고 있다. 한국식 ‘드라이브스루’ 진료소를 도입하기도 했다.

바이러스가 급속도로 번지면서 의료진 사망 사례도 늘고 있다.이날까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의료진 수는 2629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도 14명으로 늘었다.

이탈리아 정부는 내달 3일까지인 전국 이동제한 및 휴교령 기한을 연장키로 방침을 정하고 세부 사항을 검토하고 있다.

한편 이탈리아 경기침체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이날 발표한 최신 경제 전망에서 올해 이탈리아 경제가 마이너스(-) 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다른 신평사 무디스의 -0.5%보다 전망이 더 더 악화한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68,000
    • -0.17%
    • 이더리움
    • 5,295,000
    • -0.15%
    • 비트코인 캐시
    • 645,000
    • +0.47%
    • 리플
    • 721
    • -0.96%
    • 솔라나
    • 230,400
    • -1.37%
    • 에이다
    • 629
    • +0.48%
    • 이오스
    • 1,129
    • +0.36%
    • 트론
    • 159
    • +1.27%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400
    • -1.52%
    • 체인링크
    • 25,580
    • -0.62%
    • 샌드박스
    • 623
    • +2.81%
* 24시간 변동률 기준